올해 은행 화두는 '상생'...관련 전담조직 설치로 국민 도외시한다는 비판 벗어날까
상태바
올해 은행 화두는 '상생'...관련 전담조직 설치로 국민 도외시한다는 비판 벗어날까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1.02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금융, ESG본부를 ESG상생본부로 확대 개편
하나금융, 신한금융 역시 상생금융 전담 조직 만들어
지난 12월 2조원이 넘는 상생기여금 조성에 합의
"지나친 상생 압박이 성장 발목잡을 수 있어"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작년 하반기 금융권을 뒤흔들었던 키워드인 '상생'이 올해에도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몇몇 은행들이 횡령 등 금융범죄로 얼룩진데다 역대급 이자이익을 기록하며 국민을 도외시했다는 비판이 여전히 빗발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칫 은행을 향한 상생 압박이 실적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 또한 존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작년 신년사에서는 그룹차원에서 실적과 성장을 강조했었지만 올해는 다를 것"이라며 "작년 하반기부터 상생이라는 키워드가 유행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가 지난 12월 말부로 조직 개편 및 경영진 인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금융권에서 단행한 조직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상생금융 전담조직 신설이다. KB금융지주는 기존 ESG본부를 ESG상생본부로 확대 개편했다. 그룹 내 상생금융 정책을 총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은 기존 상생금융기획실과 사회공헌부를 하나로 합쳐 상생금융부로 격상시켰다. 상생금융부는 신한금융지주의 상생금융 활동을 지원하는 등 그룹 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그룹 ESG 부문 내에 '상생금융 지원 전담팀'을 신설했다. 해당 팀은 그룹 관계사의 상생금융 관련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조율 및 집행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역시 상생금융센터를 신설해 그룹과 보조를 맞췄다.

우리금융지주와 농협금융지주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별도의 관련 조직을 신설하진 않았으나 상생금융에 힘을 줄 태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금융 측에 따르면 작년 3월 이미 우리은행 내에 상생금융부를 신설한 바 있다. 농협금융 역시 지주 내 미래성장부문을 신설하고 산하에 ESG부를 배치했다. 

최근 금융권이 '상생'이라는 단어에 민감한 이유는 작년 하반기부터 대통령을 중심으로 사회 각계각층에서 은행이 민생을 도외시한다는 비판 포화를 쏟아붓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 [출처=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 [출처=대통령실]

 

지난 10월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고금리로 어려운 소상공인들께서 죽도록 일해 번 돈을 대출금 상환 명목으로 은행에 바치는 현실에 '은행의 종노릇을 하는 것 같다'며 깊은 한숨을 쉬셨다"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작년 3분기까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누적 이자 이익은 30조9366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이런 상황에서 고금리로 고통받는 서민들이 늘고 있어 은행들의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금융권은 전담조직 신설 외에도 2조원이 넘는 상생금융 재원을 마련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12월 21일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 방안'에 따르면 은행이 상생기여금 명목으로 부담할 재원의 총 규모는 2조원+α에 달한다. 5대 은행의 경우 최대 3000억원이 넘는 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권을 향한 과도한 상생 압박이 자칫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 역시 연내 하반기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지주의 실적이 올해보단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상생기여금을 납부해야 하는 점은 큰 부담으로 다가올 공산이 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도 사기업인만큼 이익을 추구하는 건 당연한 건데 너무 과도하게 십자포화를 당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담조직 신설은 상생금융 정책을 진두지휘하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지만 상생금융 기여금은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