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기회다] 삼성전자, '선택과 집중’으로 위기 돌파...미래먹거리 '로봇·차세대 반도체·전장' 낙점
상태바
[위기는 기회다] 삼성전자, '선택과 집중’으로 위기 돌파...미래먹거리 '로봇·차세대 반도체·전장' 낙점
  • 조아라 기자
  • 승인 2023.04.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와 함께 삼성 이끌 신동력으로 로봇사업 낙점...올해 시제품 출시
-85조원 규모 ‘첨단 패키지 사업’에 집중하는 반도체 사업부 AVP사업팀 신설
-전장 사업 강화한 ‘하만’, 디지털 콕핏 분야에 집중...향후 전장솔루션까지

 글로벌 경기침체와 공급망 불안이 장기화되며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은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 국내 기업들은 위기 극복에 대한 강한 도전정신으로 신성장 동력 발굴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그간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창출해 성장해왔다. 이에 <녹색경제신문>은 위기 돌파를 향한 경영자 및 기업의 노력과 성과 등 주요 사례를 심층 취재해 '위기는 기회다' 연간 기획 시리즈로 연재한다. [편집자 주(註)]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위기 극복을 위한 방편으로 사업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전략은 '선택과 집중'이다. 대표적인 미래먹거리 산업인 로봇산업에 삼성전자 역시 뛰어들었고,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 평가받는 '첨단 패키징' 사업에 집중한다. 삼성전자의 전장(자동차 전자장치) 관련 계열사 역시 전장부문 강화와 조직 슬림화를 통해 영업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반도체와 함께 그룹을 이끌 신동력으로 로봇산업 낙점

삼성전자의 DX사업부는 로봇사업 상용화에 집중한다.

이재용 회장은 지난해 8월 로봇을 비롯해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 차세대 통신, 인공지능(AI) 등에 향후 3년간 240조원을 신규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DX그룹 내 ‘로봇 사업화 태스크포스(TF)’는 지난해 ‘로봇사업팀’으로 격상됐다. 이후 삼성전자는 관련 사업 상용화를 위해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을 이끄는 반도체 사업과 ‘로봇 산업’을 주력 사업으로 성장시켜 수익성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올해 초 기술력 세계 3위라고 평가받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약 10%를 매입했다. 최근 삼성이 해당 기업의 지분을 추가 매입(278억원, 지분율 14.99% 등극)하면서 업계에서는 삼성이 로봇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최근 미국 일리노이주 숌버그에 미국 법인을 설립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CES 2023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헬스케어 보조로봇인 ‘EX1’의 올해 출시를 예고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헬스케어 로봇 제품군 관련 상표권인 ‘봇핏(Bot Fit)’을 출원하고, 이외에 웨어러블 외골격 슈트 관련 특허를 다수 등록해 상표권을 보유해 놓은 상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로봇산업은 잠재가능성이 높다"며, "향후 시니어 케어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산업을 적용해 사업 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삼성전자]

▲85조원 규모 ‘첨단 패키지 사업’에 집중하는 반도체 분야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을 담당하는 DS 사업부는 AVP(어드밴스트 패키지) 사업팀에 집중한다. 첨단 패키지 기술을 강화해 사업부 간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첨단 패키지 기술 강화 및 사업부 간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DS 부문 내 AVP사업팀을 신설했다. ‘첨단패키지 사업’은 고객이 원하는 고성능·저전력 솔루션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사업 모델이다. 삼성전자는 해당분야에 집중하기 위해 AVP사업팀을 신설하고 고사양 PKG의 개발, 양산, TEST, 출하 전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삼성이 첨단패키지 사업에 주목하는 까닭은 미래 성장성에 있다. 리서치 전문그룹 가트너는 2025년 전세계패키징 시장 규모를 약 85조원로 전망한다.

첨단패키지 사업은 차세대 반도체 시장 승부처로 꼽힌다. 수 나노미터 폭의 미세 회로를 만드는 전 공정 작업이 한계에 다다르자 업계에서는 여러 개의 칩을 하나의 반도체처럼 합치는 ‘이종결합’ ‘2.5D, 3D 패키징’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메모리, 로직 파운드리, 그리고 패키지 사업을 모두 가지고 있는 회사"라며, "이같은 강점을 살려 경쟁력 있는 제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만의 전장솔루션 '레디케어'. [사진=삼성전자]
하만의 전장 솔루션 '레디케어'. [사진=삼성전자]

▲전장사업 강화한 ‘하만’, 인포테인먼트 강자로

삼성전자의 전장·오디오 부문 계열사인 하만 역시 전장 사업 부문 중심으로 구조 재편에 성공해 영업이익이 상승했다.

하만의 경우 2016년 삼성전자에 인수됐다. 인수 이후 초기에는 0~2%대의 낮은 영업이익률을 전전한 데다,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기도 했지만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영업이익률 개선에 성공했다.

실적 개선에는 전장 사업 강화가 성공요인으로 꼽힌다. 하만은 전장사업 중에서도 디지털화된 자동차 내부공간을 뜻하는 ‘디지털 콕핏’부문에 집중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2021년에는 미국의 V2X(차량과 사물간 통신) 솔루션 기업인 ‘사바리’, 2022년에는 독일의 AR(증강현실) 기업 ‘아포스테라’를 각각 인수했다.

인수 직후부터 진행된 ‘조직 슬림화’도 실적 개선에 한몫했다는 평이다. 2017년 인수 마무리작업 이후 삼성전자는 하만의 종속회사 109개도 편입했다. 이후 통폐합, 청산절차를 통해 계열사를 정리해왔다.

지난해 하만은 인수 이후 최대 영업실적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하만은 지난해 연간 매출 약 13조원, 영업이익 약 88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1.6%, 46.7% 늘어난 수치다.

하만은 향후 사업 영역은 '전장 솔루션'까지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지난 CES 2023에서 하만은 운전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해 상황에 맞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전장 솔루션 '레디케어'를 선보인 바 있다. 

미래차 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전장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향후 하만의 행보 역시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조아라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