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中 화웨이 장비 도입..."삼성이 외산 반도체 장비구입하는 것과 마찬가지"
상태바
LGU+ 中 화웨이 장비 도입..."삼성이 외산 반도체 장비구입하는 것과 마찬가지"
  • 백성요 기자
  • 승인 2018.07.25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고의 제품·서비스 위해서는 국적 불문 경쟁력 높은 제품 사용할 수밖에 없어

LG유플러스가 5G 서비스를 위해 중국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는 것이 삼성전자가 반도체 경쟁력 유지를 위해 외산 생산라인 장비를 도입하는 것과 유사한 케이스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시대 최고의 서비스,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5G 통신 네트워크에 중국의 화웨이 장비 도입을 가장 적극적으로 고려중이다. LG유플러스는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유일하게 4G(LTE) 서비스에도 화웨이 장비를 도입했다. 이에 국가 기간산업 격인 통신망에 특히 보안 우려가 높은 중국 장비 도입에 대한 우려와 비판도 제기된다. 

얼마전까지 LG유플러스를 이끌었던 권영수 (주)LG 부회장은 지난달 "5G에서도 이변이 없는 한 화웨이 장비를 도입할 것"이라며 "화웨이가 제일 빠르고 성능이 좋고 삼성, 노키아는 비슷한 것 같다"며 화웨이 장비 도입을 공식화 했다. 

이어 "5G 장비는 4개 제조사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4G 에서도 화웨이,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LG 등 4개 제조사의 장비를 선택했다. 

LG유플러스 뿐만 아니라 SK텔레콤과 KT도 화웨이 장비 도입을 신중하게 고려중이다. 

화웨이의 5G 네트워크 장비는 전국망 구축에 필수적인 3.5GHz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면서도, 경쟁 업체보다 가격도 20~30%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및 유럽 업체보다 사후관리에 적극적이고 신속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5G 조기 상용화 스케쥴에 맞춰 장비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업체도 현재로서는 화웨이가 유일하다. 

세계최초 5G 서비스라는 타이틀 경쟁은 지난 17일 이통3사가 한날 한시에 5G 서비스를 동시 시작키로 하면서 사라지게 됐지만, 안정적인 서비스와 사후관리를 위해 화웨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는 상황에서, 전세계 통신장비 점유율 1위를 차지할만큼 검증된 업체를 완전히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기도 어렵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화웨이 장비가 가장 성능이 좋고 상용화 스케쥴을 맞출 수 있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업체"라며 "선택약정, 어르신 기본료 감면, 보편요금제 도입 가능성 등 수익구조가 악화될 수 있는 시장 상황에서 가격마저 저렴한 장비 도입을 외면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현상은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에도 일부 적용된다.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독보적인 1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 장비 대부분도 미국, 네덜란드 등 외산들이 차지했다. 특히 7나도 공정을 위한 차세대 장비인 EUV 노광장비는 네덜란드의 ASML이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독점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EUV 노광장비를 거의 독점구매 하다시피 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초격차 전략을 유지해 '반도체 굴기'를 내세운 중국 업체들의 추격을 근본적으로 따돌리기 위해서다. 

삼성전자의 관계자는 "첨단산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가장 품질 좋은 업체의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가격이 싸다거나 국내 기업이라는 이유로 조금이라도 경쟁사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장비를 도입한다면 반도체 경쟁력 자체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국내 기업들 중 세계 최고 수준의 장비 제조 업체들의 제품은 당연히 우리도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한때 세계 반도체 시장 강자였던 일본이 경쟁력을 상실한 이유 중 하나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자국 기업 장비 사용을 고수했던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결국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는 것이나 삼성전자가 외산 장비를 사용하는 것 모두 최고 수준의 서비스, 제품을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의 관계자는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을 넘어 국가별 시장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는 상황에서 최대 이윤추구가 목적인 기업들에게 자국 제품 사용만을 강요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개별 업체의 경쟁력 강화가 더욱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