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고 있는 '수소차', 턱없이 부족한 '정부 지원'
상태바
뜨고 있는 '수소차', 턱없이 부족한 '정부 지원'
  • 백성요 기자
  • 승인 2018.03.20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소차 시대 개막②] 수소차 상용화 이전부터 인프라 구축 나서는 일본/중국/유럽

현대자동차가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수소연료전지차 '넥쏘'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수소차는 5분 내외의 충전시간, 1회 충전에 600km의 항속거리 등의 장점을 갖춰 기존 전기차의 장거리 주행시 나타나는 단점을 거의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주행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사실상 '물' 밖에 없고, 미세먼지 제거 효과도 탁월해 친환경 차량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수소차가 전기차 다음으로 친환경차의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관측 하에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도 수소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녹색경제에서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친환경차 국내 출시를 맞아 수소차를 적극 조망한다. -편집자註-

조만간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수소연료전지차가 일반 도로에서 우리 옆을 달리게 된다. 일반 대중들도 예약판매 하루만에 약 500대가 사전예약 될 만큼 관심이 높다. 하루만에 정부지원금 한도를 2배이상 돌파한 셈이다.

충전시간이 5분 정도로 짧고, 주행거리도 600km 이상으로 전기차의 장거리 운행에 대한 단점을 모두 극복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정부지원금이 수소차의 현실과 중요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숙제는 있다. 수소차의 대중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다. 전기차가 시장에서 어느정도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도 정부의 보조금, 충전소 구축 등 적극적인 친환경차 보급 노력에 힘입었다. 차세대 친환경차,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며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속속 뛰어들고 있는 수소차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이 요청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각국의 기업들이 기술경쟁을 벌이는 시기에, 국내 기업이 앞선 경쟁력을 가진 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수소차 '넥쏘'의 예약판매에 돌입했다. 현대차는 전기차가 대세로 자리잡는 과정에서 수소차에 힘을 쏟으며 시장에 안착할 적기를 놓쳤다는 평가도 받는다. 사실상 친환경차 부문에서 전기차와 수소차의 1라운드 경쟁은 전기차의 압승으로 끝나가는 중이다. 

현대차는 미래사업으로 수소차를 포기하지 않았고, 수소차와 전기차 투트랙으로 친환경차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대세가 된 전기차의 흐름을 따라가며 수소차로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현대차의 수소차 '넥쏘'를 시승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국내 최초로 수소차가 출시되지만 앞으로도 수소차가 갈 길은 멀다. 당장 절대적으로 부족한 인프라 구축이 절대적 과제다. 현재 수소차 충전소는 전국 약 12곳으로 일반인도 충전이 가능한 곳은 그나마 6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수소차 충전소 24곳을 만들 계획이 있었으나 이뤄지지 못했다. 

'넥쏘'가 예약 판매 첫 날 500대가 예약되는 등 일반으로부터도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올해 수소차 지원금을 통해 보조금을 지급할 차량 대수가 187대에 불과한 것도 단적인 예다. 최악의 경우 300여명 이상의 수소차 구매 대기자가 차량을 인수받지 못하고 보조금을 기다리거나 예약을 취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차 1만 5000대, 수소충전소 310곳을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위해 국도와 고속도로 휴게소에 충전소를 설치하는 '복합휴게소'에 민간자본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충선소 설치비용 15억원~30억원의 50% 지원 계획도 밝혔다. 그럼에도 민간의 참여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기존 휴게소들의 반발이 심하고, 정부의 지원만으로는 운영이 어렵다는 것이 이유다. 수소차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까지의 지원을 업계에서는 요구하고 있다. 

일본, 유럽, 중국 수소차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

현재 수소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일본의 도요타와 혼다다. 현대차에 비해 상용 수소차 출시가 1년가량 늦었지만 북미/유럽 시장에서 5배 가량 많은 판매 대수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도요타-혼다-닛산-도쿄가스 등 11개사가 동참한 '재팬 H2 모빌리티' 컨소시엄이 출범했다. 차세대 수소차 충전소를 건설하고 수소차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컨소시엄은 2021년까지 정부 보조금 및 금융 지원 등으로 일본 대도시 지역에 80개의 수소차 충전소 설치가 목표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약 4만대의 수소차 도입이 목표다. 일본에는 지금 현재 약 100여개의 수수차 충전소가 운영중이다. 

현대차가 진행중인 수소택시 시범사업 <현대차그룹 제공>

지난해 8월, 다임러는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 진델핑엔과 포르츠하임에 수소차 충전소를 구축했다. 다임러는 독일에 올해 안으로 100개의 수소충전소를 짓는게 목표다. 

이 충전소에서 하루에 충전할 수 있는 대수는 약 40여대다. 독일 연방정부는 이 사업에 약 180만 유로 (약 24억원)을 지원했다. 바덴뷔르템베르크에만 총 9개의 수소 충전소가 있다. 아직 상용 수소차를 시장에 선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인프라 구축에 회사와 정부가 협력에 나선 셈이다. 

브레멘 역시 지난 10월 수소 충전소를 설치하며, 독일 내 수소 충전소는 33곳으로 늘었다. 독일 모델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우리나라처럼 주요 도시에 띄엄띄엄 한 곳씩 충전소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브레멘-함부르크-노스라인-베스트팔렌으로 이어지는 교통 거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는 점이다. 

수소차의 경우 한 번 충전에 주행거리가 600km 정도로 주요 도심간 거리가 멀어도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초기 개발 단계에서 거점들간의 네트워크는 중요하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도 수소차 육성에 나서고 있다. 중국 상하이시(市)는 지난해 10월 수소연료전지차 집중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수소차 3000대 양산 및 충전소 5~10개 건설, 2025년까지 3만대 증산과 50개 충전소,, 2030년까지 상하이 전체 수요연료전지산업의 연 생산가치 3000억 위안(약 52조원) 달성 등이다. 

중국 정부도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 충전소 1000개 설치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은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넥쏘'를 시승하고 만남의 광장에서 판교IC까지 주행했다. 대통령이 자율주행차 및 수소차에 탑승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많은 질문을 쏟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의 "수소 차량도 더 많이 보급되려면 수소 충전 시설이 또 곳곳에 있어야 할텐데 아직 충분하지 않겠죠?"라는 질문에 양웅철 현대차 부회장은 "네, 아직 충분하진 않지만 비교적 장거리를 가기 때문에 그렇게 촘촘하게 필요하진 않다"고 답했다. 

수소차가 전기차의 뒤를 이은 친환경차로 급부상하고 있다. 4차 산업시대 미래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책이 필요할 전망이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