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작년 4분기 실적 하회 전망에 이어...새해부터 상생금융·홍콩ELS·대출 담합 '트리플 악재' 발목
상태바
은행권 작년 4분기 실적 하회 전망에 이어...새해부터 상생금융·홍콩ELS·대출 담합 '트리플 악재' 발목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1.09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4분기엔 전분기 대비 53% 실적 둔화 예상
올해엔 작년보다 은행 앞길 가로막는 악재 산적해
5대 은행, 2000~3000억원 규모의 상생기여금 납부해야
4대 은행은 대출 담합 의혹 관련 수천억원 과징금 부과받을 가능성
홍콩ELS 상품 불완전 판매 이슈 역시 무시할 수 없어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던 은행들이 작년 4분기에는 시장 기대에 못 미쳤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둔화되고 대손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와중에 새해부터 은행들이 '상생기금·홍콩ELS·대출담합 적발' 삼중 악재를 맞이하고 있어 실적 둔화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하에 따른 이자이익 감소뿐만 아니라 각종 악재들이 산적한 만큼 올해는 은행의 영업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홍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8일 보고서에서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와 IBK기업은행의 2023년 4분기 기준 지배주주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53.4% 감소한 2조400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이는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를 23% 하회한 수치"라고 분석했다.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에 대해 이 연구원은 "상생금융 관련 비용이 4분기에 합산 기준으로 1조700억원 반영될 것을 가정했기 때문"이라며 "규모나 회계처리 방법은 확정되지 않아 변동될 여지가 있다"고 예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생금융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총영업이익은 지난 3분기 대비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저원가성 수신 이탈, 대출 금리 둔화 등으로 은행 순이자마진(NIM)은 3bp 하락해 순이자이익이 3분기 대비 1.9% 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이 연구원은 "비이자이익도 비시장성 자산 평가손실, 보험사의 자동보험율 L/R(손해율) 상승 및 손실부담계약비용 등에 따라 부진할 것"이라며 "건전성 둔화 압력도 가중돼 대손비용이 늘어날 예정인 것도 실적 악화의 주된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성장에 제동이 걸렸음에도 당분간은 은행들이 난관을 쉽게 뚫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대내외적인 이슈로 인해 추가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이 국민을 도외시한다는 비판을 타개하기 위해 은행권은 지난 12월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 방안은 소상공인 이자환급을 지원하는 공통 프로그램 1조6000억원과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을 위한 자율 프로그램 4000억원으로 구성됐으며 지원 규모는 2조원+α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방안에 따르면 18개 은행(국민·신한·우리·농협·하나·SC제일·기업·한국씨티·수협·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케이·카카오·토스은행)이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배분해 2조원의 재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작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을 바탕으로 환산한 2023년도 추정 당기순이익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 중 5대 은행의 경우 2000~3000억원의 기여금을 납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모바일상품권 관련 의혹에 대한 조사 착수에 나섰다. [사진= 서영광 기자]
공정거래위원회

 

한편 상생기여금 이외에도 은행들은 수천억원대 과징금을 토해내야할 위기에 처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의 대출 담합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관련 행위에 대한 심사보고서를 발송했다.

심사보고서는 이들 은행이 개인과 기업을 상대로 암묵적으로 거래조건을 담합해 부당이득을 챙겼다고 명시했다. 4대 은행이 LTV 등 대출에 필요한 정보들을 공유하면서 고객에게 유리한 대출 조건이 설정되지 않도록 담합을 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들 은행은 이 같은 관행이 참고 차원에서 이뤄질 뿐 담합은 아니라고 항변했다. 그러나 혐의가 인정될 경우 최대 수천억원의 과징금을 납부해야 한다. 

또 은행들이 판매한 홍콩ELS 상품의 손실이 현실화되는 점도 올해 은행의 성장에 족쇄가 될 가능성이 크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만기가 다가오는 주가연계증권(ELS)의 규모는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에만 3조9000억원, 2분기에는 6조3000억원 규모의 만기가 도래한다.

9일 기준 홍콩H지수가 5527.21을 기록하고 있어 2021년 대비 반토막 난 상황이라 손해는 거의 확정적인 상황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8일 국민은행을 필두로 주요 판매사 12곳에 대해 순차적으로 현장점검에 돌입했다. 불완전판매 등 위법사항이 확인되는 대로 금감원은 금융권에 법적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은행들이 홍콩ELS 관련 과징금과 배상금 이슈를 교묘히 피한다 해도 문제는 끝나지 않는다. 지금까지 은행권은 자산운용사가 여러 ELS를 묶어 상품을 만들면 이를 대행해 판매해 최소 2000억원 이상의 수수료 수익을 챙겼다. 현재 안팎으로 ELS에서 대한 비판이 거센만큼 재판매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에 비해 은행들이 비이자이익 부문에서 다소 뒷걸음질 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상생금융은 납득이 가기 때문에 이미 은행들은 대비를 거의 마쳤으며 기꺼이 납부할 준비가 됐다"며 "그러나 홍콩ELS나 대출담합 이슈의 경우 다소 억울한 감이 있어 과징금을 납부해야한다면 법적 검토를 진행할 듯하다"고 말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