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링크플레이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정부VS기업, 입장차 커져
상태바
슈링크플레이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정부VS기업, 입장차 커져
  • 서영광 기자
  • 승인 2023.11.24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슈링크플레이션 관련한 소비자 원성 ↑
정부, 관련 부처 및 단체들과 대응방안 논의..."슈링크플레이션은 일종의 소비자 기만"
일부 기업들, "가격 혹은 용량 조절하지 않고는 버티기 힘들어"
소비자단체, "용량 변화 표시 표준화 해야"..."소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것"

식품업계에서 용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 유행하면서 이를 둘러싼 소비자 원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최근 간담회를 열고, 관련 부처 및 단체들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정부는 공개적으로 슈링크플레이션을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부 기업에선 “정부의 가격 인상 압박이 과하다”며 “가격을 올리거나 용량을 줄이지 않고서는 버티기 힘들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로써 슈링크플레이션을 두고 정부와 기업 간의 입장차는 좀처럼 굽혀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비난이 거세지자, 정부와 기업 간의 입장차가 커지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비난이 거세지자, 정부와 기업 간의 입장차가 커지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24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슈링크플레이션’을 두고 기업과 정부 간 입장 차이가 커지고 있다.

고물가 기조와 원부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앞서 여러 식품업체에서는 제품들의 가격 인상을 단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물가 안정의 목적으로 기업들에 가격 인상 자제 압박을 넣었다. 또한 이를 의식한 일부 기업들은 가격인상 대신 제품의 양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전략을 선택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단체에선 거센 비난이 일었다. 이어 정부에서도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 기만”이라는 지적을 내놓았다.

특히 지난 22일 조홍선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단체, 한국소비자원과 한데 모여 슈링크플레이션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조 부위원장은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 신뢰를 저해할 수 있다”며 “심각성이 엄중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부 식품업계는 ‘꼼수’라는 비난에 억울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원부재료값이 상승한데 이어 달러 강세 등으로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가 적절한 대처 방안 없이 기업에 가격 압박만 넣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앞서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진 주류의 경우 주세 인상이 가격 인상의 주된 원인이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실제로 한 식음료업계 관계자는 24일 <녹색경제신문>에 “최근 고물가 기조로 인해 기업들은 생존 방안을 찾아야 하는 상황을 마주했음에도 가격 인상이나 용량 축소와 관련해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며 “사실상 정부가 적절한 개입이나 대응책 없이 가격 인상 자제 압박을 넣으면서 현재 기업들은 갈곳을 잃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주류는 더욱이 주세 인상으로 인해 더 이상 가격 인상을 하지 않고는 버티기 힘들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일부에선 기업들의 생존을 위해 슈링크플레이션 자체를 막기보다는 용량 변화표기 등을 표준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제로 한 소비자단체는 <녹색경제신문>에 “용량이나 함량의 변화가 있음에도 소비자들이 인식하지 못할 때 ‘꼼수’가 되는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변화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변량을 표기하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가격 및 중량 등 변동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나설 방침이다. 소비자원 가격 정보 사이트 '참가격'에서 가격 변동 정보와 더불어 중량 변동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편을 추진한다는 것.

다만 개편 시점은 현재 미정이다. 이달 말 '슈링크플레이션' 실태 조사가 끝마치는 대로 내달 초 해당 결과 발표 이후 계획이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서영광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