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횡령 막자’ 포상금 10억원 내걸었으나 실효성은?…"내부고발자 보호없는 신고제는 생색내기에 불과"
상태바
우리은행, ‘횡령 막자’ 포상금 10억원 내걸었으나 실효성은?…"내부고발자 보호없는 신고제는 생색내기에 불과"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3.07.26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이어 올해 횡령 사건 발생
내부신고 10억 포상금 제도 내걸어
실효성은 물음표…”형식에 그칠 것”
우리은행.
우리은행.

 

우리은행이 잇단 횡령을 막기 위해 ‘10억원’ 포상금을 내걸었으나 실효성에 대한 의견은 엇갈린다. 이미 10년 전부터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이 포상기준을 10억원으로 높였으나 은행권 횡령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내부고발자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한 이번 조치도 형식에 그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내부통제 문제가 없다’는 경영진들의 인식도 제도도입 효과를 반감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우리은행 내부통제 시스템에 또 다시 빈틈이 뚫렸다. 지난달 우리은행 지점 직원이 9100만원을 빼돌려 가상화폐에 투자한 사실이 밝혀졌다. 작년 한 직원이 10년간 약 700억원의 금액을 횡령한 사건이 발각된 지 1년 만이다.

반복되는 문제에 은행은 자구책을 내놓았다. 이 중 가장 주목 받는 건 10억원 포상안이다. 20일 우리은행 지주사인 우리금융그룹은 횡령 등 비위행위에 대한 내부신고 포상금을 최고 10억원 지급한다고 밝혔다.

은행권 안팎에서는 이러한 조치를 둘러싼 부정적 평가가 지배적이다.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실행한 결과 신고 건수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금감원[사진=녹색경제신문]
금감원[사진=녹색경제신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20개 은행 중 10개 은행은 횡령 등 비위행위 관련 신고실적 0건을 기록했다. 포상금 지급도 1건에 불과했다.

왜 신고 안하나?....내부고발자 보호제도 부실이 제일 큰 원인

내부고발자 보호 제도가 부실한 점이 크다. 우리은행은 외부채널을 도입해 익명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효성은 미지수다. 한 은행원은 "외부채널을 완전히 확신할 수 없다"며 "혹시 모를 꼬리표를 달고다닐 은행원이 많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내부통제의 전반적인 허점을 인정하지 않는 경영진들의 인식도 문제다. 포상금 지급을 위해선 내부통제 시스템의 허점을 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20일 내부통제 혁신방안 설명회에서 전재화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은 “내부통제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사건이 일어난건 죄송스럽지만 조기에 발견해서 더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건 역으로 내부통제가 정상 작동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자체적인 통제를 하고 있지만 내부 비위문제는 끊이질 않는다”면서 “내부통제 시스템을 더 강화한다면 완벽하진 않지만 대부분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