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충당금 쌓는다...수익성 개선 복안은?
상태바
5대 은행, 충당금 쌓는다...수익성 개선 복안은?
  • 박금재 기자
  • 승인 2023.04.24 1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충당금 규정 개정
금산분리 규제 완화 움직임
비금융분야 진출 속도 붙어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 [사진=각사]

금융당국이 미래위험을 대비해 2분기 충당금 규정을 개정하겠다고 밝히면서 5대 은행이 이전보다 많은 충당금을 쌓을 계획이다.

다만 충당금이 급증할 경우 이익 감소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돼 은행이 수익성을 개선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실적 발표를 앞둔 탓에 구체적인 액수를 말할 수는 없지만 충당금을 늘릴 계획"이라면서 "리스크를 고려해 예상보다 많은 충당금을 적립할 것 같다"고 말했다.

24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5대 은행은 금융당국의 권고를 받아들여 이번 주 발표할 1분기 실적에 당초 계획보다 많은 충당금을 반영하기로 했다.

은행 내부에서도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나빠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충당금을 충분히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5대 은행의 2월 신규 연체율 평균은 0.09%로 1월(0.08%)보다 0.01%포인트(p) 높아졌고, 1년 전인 지난해 2월(0.04%)과 비교하면 두 배를 넘어섰다.

더불어 은행을 놓고 '돈 잔치'를 벌인다는 비난이 제기됐던 점도 충당금을 늘려 순이익을 줄이는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5대 은행의 수익성이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비이자이익을 강화하는 숙제가 주어졌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금융당국도 금산분리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어 은행의 비금융분야 진출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먼저 알뜰폰 서비스가 은행의 부수업무로 지정되면서 다수의 시중은행들이 사업 참여를 고려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리브엠'을 통해 이미 알뜰폰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고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역시 알뜰폰 통신사들과 제휴 요금제를 출시했다. 

은행이 알뜰폰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로는 잠재 금융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꼽힌다. 더불어 통신업의 고객 데이터를 통해 신용평가모형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도 은행에게 장점이다.

자산관리 부문의 경쟁력 강화 역시 은행이 이자이익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은행은 고객들에게 세금 컨설팅, 부동산 및 상속·증여 관리 등 종합적인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하나은행은 이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부서별로 흩어져 있던 자산관리 기능을 자산관리그룹으로 통합 및 확대·개편했다.

최근에는 자체 개발한 AI 자산관리 플랫폼인 '아이웰스'를 선보이는 한편 자산관리에 특화된 전문직원을 각 지점에 배치하고 '프라이빗뱅킹 자산관리 시스템'을 모든 영업점에 도입했다.

우리은행도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자산관리에 힘을 실었다. 비대면 전담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WON 컨시어지 소호영업부'와 'WON 컨시어지 WM영업부'를 신설하고 자산가에 특화한 플래그십 영업점을 마련했다.

신한은행은 배달앱 시장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1월 선보인 '땡겨요'를 통해 고객과 가맹점인 소상공인, 배달라이더까지 플랫폼 참여자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상생 배달앱을 목표로 출시됐다.

'땡겨요'는 지난달 말 기준 가맹점 8만5000곳, 가입자 192만7000명으로 지난해 1월 6000곳, 3만7000명에서 빠른 속도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2020년 12월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으며 내년 말 지정기간이 만료되는데, 국민은행 리브엠의 사례를 고려하면 향후 정식 사업 승인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을 놓고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이 입을 모으고 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비금융 부문 진출을 놓고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어 다양한 신사업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다하고 있어 적극적으로 신사업에 투자하기는 어려운 점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