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 신개념 점포 확대...점포 축소에 따른 고객 불편은 '여전'
상태바
5대 시중은행, 신개념 점포 확대...점포 축소에 따른 고객 불편은 '여전'
  • 정수진 기자
  • 승인 2023.03.31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시중은행, 올해 1분기 76곳 점포 폐쇄
점포 축소 대응책으로 신개념 점포 도입
그러나 점포 축소에 따른 고객 불편은 '여전'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5대 시중은행이 점포 통폐합의 대안으로 영업시간 탄력점포, 고령층 특화점포 등 신개념 점포를 늘리고 있다. 그러나 점포 축소에 따른 금융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디지털화에 따라 영업점 축소는 불가피하지만,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특화점포 개설, 영업시간 탄력점포 확대 등을 통해 점포 폐쇄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31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5대 시중은행은 올해 1분기까지 총 76곳의 영업점을 폐점했다. 이중 KB국민은행이 65곳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우리은행(7곳), 신한은행(4곳) 순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의 점포 수는 변동이 없었다. 

연초 시중은행들의 점포 통폐합 속도를 감안할 때 올해 은행권에서 역대급으로 많은 수의 점포가 폐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최근 비용 절감에만 집중하느라 노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정부와 금융당국 또한 은행권 점포 축소에 제동을 걸면서 시중은행들이 점포 통폐합 '속도조절'에 나섰다. 

KB국민은행은 올해 상반기까지 1개의 점포를 추가로 폐쇄할 예정이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4월과 7월에 6곳, 1곳의 점포를 추가 폐쇄하기로 했고, 농협은행은 올해 추가적인 점포 폐쇄가 없다고 전했다. 

우리은행은 2분기까지 점포 축소 계획과 관련해 미정이라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의 ‘9 to 6뱅크’.[사진=KB국민은행]
KB국민은행의 ‘9 to 6뱅크’.[사진=KB국민은행]

5대 시중은행은 점포 축소에 따른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따라 영업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탄력점포', 특정 대상을 위한 '특화점포' 등 신개념 점포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기존 오후 4시까지인 영업점 영업시간을 오후 6시 또는 8시로 늘린, 이른바 '탄력점포'로는  KB국민은행의 ‘9 to 6 뱅크’, 신한은행의 ‘이브닝 플러스 지점’ 등이 있다. 

이중 일반 대면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저녁 6시까지 운영하는 탄력점포는 사실상 KB국민은행의 ‘9 to 6뱅크’가 유일하며 고객들로부터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72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농협은행도 소상공인들의 영업시간을 고려해 영업시간을 오전 7시30부터 오후3시까지 영업하는 '얼리(Early) 뱅크'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영업하는 '에프터(After) 뱅크'라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특정 대상을 위한 특화점포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이 금감원장의 방문에 맞춰 1020억원 규모의 상생 패키지를 내놓았으며,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금융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30일 고령층을 위한 영업점 2호점인 '영등포 시니어플러스 영업점'을 개설했다. 시니어 특화점포 1호점은 지난해 12월 동소문로에 개설됐다. 

'시니어플러스 효심 영업점'은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를 위해 신설한 시니어 특화점포로 일반 영업점과 다르게 안락한 의자 등 더 많은 대기 장소가 제공되고 고령층 친화적인 ATM이 배치됐다.  

이 금감원장은 우리은행의 고령층 특화 점포 개설에 대해 "매우 반가우며 금감원이 은행의 이런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시중은행이 탄력점포, 특화점포 등 신개념 점포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점포 통폐합 속도 대비 너무 더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시중은행들이 점포 축소 대응책으로 점포를 폐쇄한 지역에 자동화기기(ATM)를 설치하는 등 조치에 나서고 있지만 디지털 소외계층인 고령층에겐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정수진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