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커스] 도로 위 ‘시한폭탄’ 전기차, 소비자 불안 안 꺼진다…책임은 어디에?
상태바
[팩트체커스] 도로 위 ‘시한폭탄’ 전기차, 소비자 불안 안 꺼진다…책임은 어디에?
  • 장지혜 기자
  • 승인 2023.01.19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차량 구조적 문제로 인명 사고↑...2·3차 피해도 파다
- 화재 원인 규명 어려워 제조사·배터리사 책임 불분명
- “업계에서도 배터리 관련 다양한 기술적 방안 모색”
테슬라 모델 3 화재 사고 현장. [사진=부산소방재난본부]
테슬라 모델 3 화재 사고 현장. [사진=부산소방재난본부]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도로 위 차주들의 공포심이 커지고 있다.

일반 차량에 비해 인명 사고의 위험성이 높을뿐더러, 화재 원인을 명확하게 밝혀내기 어려워 책임 소재도 불분명하다는 우려에서다.

19일 <녹색경제신문>은 자동차 전문가와 함께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를 둘러싼 논란점들을 낱낱이 짚어봤다.

지난해 전기차를 구매했다는 A씨는 “전기차 사고와 관련한 소식을 들을 때마다 공포스럽다”며 “특히 불이 났을 때 탈출이 어렵다는 말도 많은데 나에게도 언제 닥칠지 모르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면 무섭다”고 말했다.

실제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 사고 시 인명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은 편이라고 지적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일부 전기차는 손잡이가 차체 안으로 숨어들어가게 설계된 매립형 히든 도어나 뒷문이 위로 열리는 팰컨 도어 등으로 돼 있어 구조를 늦출 위협이 되기도 한다”며 “전기에너지가 차단되면 전체 시스템이 셧다운되면서 비상 시 조치를 못하는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다”고 말했다.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존재라는 점은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그간 전기차 화재 사고를 살펴보면 주행 상황뿐만 아니라, 주차 중, 충전 중에 발생하는 경우도 파다하기 때문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사고는 화재 진압에 어려움으로 문제가 대두되기도 하지만 내연기관차에 비해 주차 중이나 충전 후 정차 중에 발생하는 사고가 많은 것도 문제”라며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2, 3차 피해로 번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운전자가 차량에 상주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화재는 더 큰 피해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원인 규명이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차량 배터리가 전소할 경우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제조사의 차량 부품 조립 문제나 배터리 공급사의 문제 등으로 화살을 돌려봐도 업체가 직접 나서서 책임을 지는 경우가 거의 없는 이유다.

이호근 교수는 “운전자가 자동차 제작사에 일차적으로 책임을 묻게 되면 제작사가 부품사나 배터리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책임을 가려야 하는데 책임소재에 대한 논란과 비협조적인 부분 때문에 오히려 소비자의 피해가 가중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 보험 처리 등으로 보상받는 경우가 전부고 제조 결함에 대한 보상이나 혜택 등을 받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처럼 전기차 보급이 증가함과 동시에 제조사와 차종을 불문한 전기차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90여 건에 달하며, 해마다 뚜렷한 증가세를 보인다.

2017년 1건, 2018년 3건, 2019년 7건, 2020년 11건에서 2021년에는 24건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전기차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만 44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김필수 교수는 “그렇다고 해서 전기차 화재가 내연기관차보다 많은 것은 아니다”라면서 “확산 속도나 불의 크기가 크다 보니까 공포감을 가지게 되는 것인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에서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오닉5 충돌 테스트 현장.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아이오닉5 충돌 테스트 현장.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업체도 나름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충격 테스트를 지속하고 있으며, 배터리업체에서는 배터리 셀 사이에서 소화제가 터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든지,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는 등 화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을 없애기 위한 노력을 각각 이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장지혜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