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10년 만에 구독자 감소 … 고점 다다른 OTT 업계, 광고 요금제 도입으로 활로 모색
상태바
넷플릭스 10년 만에 구독자 감소 … 고점 다다른 OTT 업계, 광고 요금제 도입으로 활로 모색
  • 이준용 기자
  • 승인 2022.04.20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넷플릭스 1사분기 구독자 20만 명 감소 … 창사 이래 최초, 주가 20% 폭락
“러시아 서비스 중단 여파” 해명했지만 2사분기도 감소 예상
내부에선 ‘계정 공유’ 원인으로 지목, 적극 대응 나설 듯
저렴한 대신 광고 있는 요금제 예고 … 디즈니 등 경쟁 플랫폼도 검토
넷플릭스 [사진 제공=넷플릭스]
넷플릭스 [사진 제공=넷플릭스]

넷플릭스가 위기를 맞았다. 올해 1사분기 구독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가가 폭락한 것이다. 러시아 서비스 중단의 영향이 컸다고 하지만 시장이 고점을 지나고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를 막고 광고 요금제를 도입하는 등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현지 시각 19일 ‘파이낸셜타임즈(Financial Times)’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1사분기 구독자가 20만 명 감소하며 처음으로 구독자 증가세가 멈췄다”고 밝히며 “구독자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넷플릭스 주가는 25% 하락했다.

구체적 수치를 보면, 일단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지역의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70만 명의 구독자가 감소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보인다. 넷플릭스 측은 이 부분이 없었다면 50만 명의 구독자 증가가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넷플릭스의 구독자 감소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바론스(Barron’s)’는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이 넷플릭스의 2사분기 구독자 수도 200만 명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감소 폭이 확대된다는 것이다.

넷플릭스 측이 주주들에게 보낸 서신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내부적으로 계정 공유와 경쟁 격화를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2억 2200만 명의 구독자 뒤에는 1억 명 정도의 계정 공유 사용자들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또한 “지난 3년 동안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스트리밍 서비스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앞서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왔다. 이에 일부 국가에서는 계정을 공유하려면 추가 요금을 내도록 하는 실험에 나서기도 했고, 한국 등에서는 계정 공유를 막는 방법을 검토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구독자 증가 속도가 느려지면서 이 문제를 원인으로 짚어온 넷플릭스가 이번 구독자 감소를 계기로 더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는 이들 계정 공유자들에게 일정한 요금을 부과하는 ‘계정 공유 구독 모델’을 통해 수익화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는 개인적으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표시해왔지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광고가 있는 대신 저렴한 요금제 도입을 예고했다. 헤이스팅스 CEO는 “내년이나 내후년쯤 도입될 것으로 본다”며 “디즈니와 훌루 등 다른 사업자들이 성공한 모델”이라고 밝혔다.

헤이스팅스 CEO의 말대로 디즈니 등 경쟁 업체들은 이미 광고 요금제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바꿔 말하면 OTT 업계 전반에 걸쳐 구독자 확대가 벽에 부딪히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저렴한 대신 광고가 있는 요금제를 통해 저변 확대에 사활을 걸어야 할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비관적으로 보면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넷플릭스가 명실상부한 업계 1위 공룡이라는 점에서 넷플릭스가 봉착한 위기가 넷플릭스만의 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내려간다는 건 다같이 내려간다는 의미”라며 “앞에 가는 차가 멈췄는데 뒤에 있는 차가 아무 영향 없이 지나갈 수는 없는 일”이라고 언급했다. 다른 플랫폼들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거나 곧 겪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먼저 숙제를 풀기 시작한 넷플릭스가 적절한 대응을 통해 OTT 업계에 길을 제시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준용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