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CEO 비중, SKY 출신 줄고 한양대·성균관대·중앙대·서강대·한국외대 '두각'... 탈(脫)학벌 바람 '가속화'
상태바
대기업 CEO 비중, SKY 출신 줄고 한양대·성균관대·중앙대·서강대·한국외대 '두각'... 탈(脫)학벌 바람 '가속화'
  • 박근우 기자
  • 승인 2021.11.18 08:26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19년부터 SKY 출신 30% 미만으로 감소…올해는 28.4%
- 서울대 출신 CEO 가장 많지만 최근 감소세 보여...올해 14.1%로 추락
- 경북대, 경희대, 영남대, 건국대 등도 20명 이상 CEO 배출

명문대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CEO)의 비율이 떨어지고 한양대, 성균관대, 중앙대, 서강대, 한국외국어대 등 출신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재계 관계자는 "주요 대기업에서 SKY 대학 출신 CEO 비율이 지속 감소하고 있다"며 "학벌 보다는 능력을 중시하 탈(脫)학벌 바람이 가속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밝혔다.

17일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발표한 ‘2021년 국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 및 전공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1439명 중 서울대 출신은 203명(14.1%)이고 고려대(110명, 7.6%), 연세대(96명, 6.7%) 순이었다.

SKY대학 다음으로는 ▲한양대(77명) ▲성균관대(47명) ▲부산대(37명) ▲중앙대(35명) ▲서강대(33명) ▲한국외국어대(31명) ▲경북대(26명) ▲경희대(25명) ▲영남대(23명) ▲건국대(20명) 순으로 20명 이상 CEO를 배출시켰다. 대부분 서울에 위치한 대학이지만 지방대 중에는 경북대와 영남대가 포함됐다.

또한 통상 서울대 출신 CEO가 고려대와 연세대를 나온 최고경영자를 합친 숫자보다 더 많은 ‘S>K+Y’ 공식이 올해 조사에서는 깨졌다. 1000대 기업 내 서울대 출신 CEO 비중은 2019년 15.2%에서 지난해 14.9%로 낮아졌고 올해는 14.1%로 더 하락하는 추세다.

SKY대학 출신 CEO는 28.4%(409명)로 작년 29.3%보다 0.9%포인트 수준으로 낮아졌다. 지난 2011년 41.7%였을 때와 비교하면 10년 새 SKY 비중이 13.3%포인트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07년 59.7%와 비교해보면 31.3%포인트 넘게 감소했다. 과거 재계에서 10명 중 6명꼴로 SKY대 출신이던 비중이 지금은 3명도 채 되지 않은 셈이다.

특히 지난 2008년 이후 40%대를 유지해오던 SKY 대학 출신 CEO는 2013년에 39.5%로 처음으로 30%대로 낮아졌다. 이후 2019년에는 29.4%로 처음으로 30% 밑으로 감소했다. 2019년 이후 지금까지 30% 미만을 유지해오고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960~1963년 사이 태어난 1960년대 초반생이 2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1957~1959년 사이에 출생한 50년대 후반생 비율이 16.3%로 나타났다. 1964~1966년에 태어난 60년대 중반층은 13.3% 수준을 보였다.

이어 1967년~1969년생은 8.8%, 1970~1973년생은 7.9% 비중을 보였다. 

1980년 이후에 태어나 대표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는 MZ세대 CEO도 29명으로 2% 수준으로 집계됐다. 1000대기업 중 최연소 대표이사는 올해 반기보고서 기준 경농 이용진 대표이사, 금호에이치티 김두인 대표이사, 신영와코루 이성원 사장, 자화전자 김찬용 사장이 모두 1985년생으로 가장 젊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별 전공 현황 중 이공계 출신 비율은 작년(46.4%)와 비슷한 46.5%로 나타났다. 연도별 이공계 출신 비율은 2011년 43.9%→2012년 44.4%→2013년 45.3%→2019년 51.6%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작년과 올해에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올해 조사된 200명이 넘는 서울대 출신 경영자 중에서는 1964년생이 22명으로 최다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출신 중 최고령은 1934년생인 고은희 대림통상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연소는 1980년생인 펄어비스 정경인 대표이사(재료공학)와 컴투스 이주환 대표이사(경제학)였다.

고려대 출신 중에서는 1963년생이 11명으로 가장 많이 활약 중이다. 한국금융지주 김남구 회장을 비롯해 SK하이닉스 박정호 부회장, 아시아나항공 정성권 대표이사 등은 동갑내기이면서 고려대 경영학과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연세대도 1964년생 CEO가 10명으로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삼성생명 전영묵 사장과 대우건설 정항기 대표이사는 경영학과를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매일유업 김선희 대표이사(불어불문학), 진에어 최정호 대표이사(응용통계학), LX인터내셔널 윤춘성 대표이사(지질학) 등이 해당한다.

유니코써치 김혜양 대표는 “과거에는 인재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 등이 많지 않다 보니 출신 학교와 같은 스펙 등을 중요한 기준으로 여겼지만 최근 산업계는 융합이 대세로 자리매김하다 보니 단순히 어느 학교 출신인지 하는 1차원적 기준보다는 무엇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1-11-19 09:40:14
고려대(구한말 서민출신 이용익이 세운 보성전문이 모태, 동학란을 일으킨 천도교 소속이다가, 해방후 친일파 김성수가 인수 고려대로 변경).

http://blog.daum.net/macmaca/3154

윤진한 2021-11-19 09:39:31
교과서(국사,세계사)>입시점수 중요.여기서부터는 이이제이에 적응해 버티는게 생명력이 오래갈것.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잘 모르겠음. 주권.자격.학벌없는 왜구 서울대밑에서 대중언론으로는 밑에있던 대학들이라 주권.학벌없이 이이제이가 적당함. 논란必要. 국가주권.자격.학벌없이 임시정부요인 개인설립 국민대,신흥대(경희대),인하대(공대)>완충女 이화여대. 중앙대. 그리고 패전국 일본 잔재로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온 왜구잔재 서울대(100번),왜구 초급대출신 부산대.경북대.전남대.이리농림고 후신 전북대 농대가 기반이며 초급대등 병합한 전북대,왜구 초급대출신 시립대,연세대(일본강점기 연희전문 후신 연세대. 국시 110브 연세대), 고려대(구한말 서민출신 이용익이 세운 보성전문이 모태, 동학란을 일으킨 천도교 소속이다가,

윤진한 2021-11-19 09:38:41
과거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교과서 교육은 거의 변할 사유가 없을것입니다. 한국에서는 Royal성균관대(한국 최고대), Royal 서강대(세계사의 교황 윤허반영, 국제관습법상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학부 나오면 취업률과 유지취업률이 가장 좋은 자료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대학원에 가서 신학.법학.의학, 문사철 및 경제.경영,기초과학.공학등을 전문 연구하는 Royal성균관대.Royal서강대 출신들이 일정인원이상 배출되는게 바람직합니다).

국사,세계사 기준이 옳음. 법이나 교과서자격이 없으면, 입시점수!. 왜구잔재대학은 주권.자격.학벌이 없음.

Royal성균관대(국사 성균관 자격, 한국최고대)와 서강대(세계사의 교황반영,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는일류,명문끝. 法(헌법,국제관습법).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