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위원장의 지배구조 개선 '데드라인' 임박...관심 집중되는 '현대차그룹'
상태바
김상조 위원장의 지배구조 개선 '데드라인' 임박...관심 집중되는 '현대차그룹'
  • 백성요 기자
  • 승인 2017.12.21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직 별다른 방안 내놓지 못한 현대차그룹, 묘책 공개 가능할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대기업 지배구조 개편 데드라인으로 제시한 연말이 코앞으로 닥치며 재계의 시선이 현대자동차그룹으로 쏠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와 김상조호(號) 공정위 출범 이후 재벌 기업들은 저마다의 자구책을 속속 내놓고 있지만 현대차만은 아직 묵묵부답이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배구조 개선에 섣불리 나서기 어려운 이유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와 정의선 부회장으로의 승계구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 역시 이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9월 "모든 가신 그룹들이 회장만 받느는 구도가 형성되며 사업구조나 지배구조 변화를 위한 어떤 결정도 하지 않고 시간만 보내고 있다"면서 "정의선 부회장이 최고경영자로서 가치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지적해 과도한 발언이라는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제공=현대차그룹>

삼성그룹은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 이후 지주사 전환은 없다고 못박으며 자사주 소각 등 강력한 주주환원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의 '뉴롯데'에 발맞춰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위한 사전작업을 마쳤다. LG그룹은 유일한 지주회사 밖 계열사이던 LG상사를 자회사로 편입하며 전환작업의 마침표를 찍었고, SK케미칼 역시 지주회사로의 변신을 준비중이다. 

김 위원장이 엄격하게 감시하겠다고 강조한 범4대 그룹 및 10대 그룹 중 현대차그룹만이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어떤 방안도 아직까지 내놓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오는 12월까지 긍정적 변화의 모습이나 개혁 의지를 보여주지 않을 경우 '구조적 처방'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경고 메세지를 내놨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김 위원장의 유별난 관심을 받아 왔다. 

취임 직후 김 위원장은 "현재 순환출자가 총수 일가 지배권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곳은 현대차그룹 하나 뿐"이라고 말했고, 지난 8월에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현대차 순환출자 구조 해소에 대해 현대차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이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경영권 승계까지 하려면 기아차 팔아야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20.78%)→현대자동차(33.88%)→기아자동차(16.88%)→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형태의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정몽구 회장은 현대모비스 지분 6.96%, 현대차 지분 5.17%를 가졌고,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차 2.3%, 기아차 1.7%를 보유했다. 현대모비스 보유지분은 없다. 

현대자동차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정의선 부회장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이 순환출자 고리를 끊으면서 승계작업까지 원활히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기아차가 가지고 있는 현대모비스 지분 16.88%를 정의선 부회장이 매입하는 방안이 언급되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이를 위해선 약 3조8000억원 수준의 현금이 필요한데 정 부회장의 계열사 지분 전부를 팔아도 3조원 안팎에 불과하다. 

현대차그룹의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우스개이긴 하지만 현대차의 지주사 전환이나 승계를 위해선 기아차를 팔아햐 한다는 농담까지 나올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가장 가능성 높은 방안으로 현대모비스를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 하는 방식이 오래전부터 언급되고 있다. 이런 방식은 대기업들이 지주사 전환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했던 것이기도 하다. 

또다른 방법으로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3개사를 모두 인적분할하고 투자회사끼리 합병해 지주회사로 출범시키는 방안도 거론된다. 이런 방법은 최근 롯데가 지주사 전환을 위해 활용했다. 롯데그룹은 이 방법으로 67개였던 순환출자 고리를 13개로 줄이며 지주회사 체제 전환으로의 사전작업을 마쳤다. 

김상조 위원장이 데드라인으로 제시한 연말까지는 열흘 남짓 남았다. 이 기간동안 재계 2위 현대차그룹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