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보다 빠졌다"... '레든' 게임 개발스토리 4백만 명이 '관심'
상태바
"광고 보다 빠졌다"... '레든' 게임 개발스토리 4백만 명이 '관심'
  • 이재덕 게임전문기자
  • 승인 2017.11.01 19:07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디게임 개발 뒷 얘기에 응원글 쇄도

"광고를 보다가 끌려서 들어왔어요. 마음에 와 닿네요"

구글플레이가 13일 업로드한 '구글플레이 개발자이 이야기 레든(REDDEN)'의 영상을 본 시청자의 소감이다. 

이 영상은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2011년 어학원에서 처음 만난 개발자 이유진씨와 김준영씨가 둘이서 옥탑방에서 게임, '레든(REDDEN)'을 만들어 서비스하는 과정을 TV광고처럼 느낌있게 담아냈다. 

둘은 서로 싸우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 작품을 선보였고, 이들이 만든 게임 '레든(REDDEN)'은 구글 피처드에 오르며 전세계 수십만 유저들이 즐기는 세계적인 게임이 됐다. 

이유진 팀 블로소득의 공동대표는 영상 속에서 "이 길 끝에 아떤 엔딩이 펼쳐질지 몰라도 후회는 없다. 좋아하는 사람과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것,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이니까"라는 대사를 남긴다. 

김준영 팀 불로소득 공동대표는 인터뷰 영상에서 "마케팅 비용을 마련해두고 게임을 만든 것이 아니어서, 구글 행사가 큰 도움이 됐고, 앞으로 생각할만 요소가 많은 게임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반응은 뜨거웠다. 4백 만 명 이상이 이 영상을 시청했고, "광고가 너무 좋아서 끝까지 봤다", "예전에 재미있게 했는데, 한국게임이었구나", "여성 개발자가 있었다니...게다가 연기도 잘한다", "발로 깨고 있다니...게임 진짜 잘 만들었다"며 응원글이 쇄도했다. 

'레든(REDDEN)'은  사물의 단면을 상징하는 아름답고 독특한 세계를 배경으로, 화면을 드래그하거나 디바이스를 기울여 직관적인 플레이를 펼치게 된다. 

유, 무료 버전이 있으며, 무료버전은 첫 번째 에피소드는 무료이고, 이후 에피소드는 인앱결재가 필요하다. 구글 무료 버전은 최고 13등까지 기록했고, 유료버전은 구글 유료 82위를 기록 중이다. 

이재덕 게임전문기자  gamey@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2017-11-02 13:24:15
대체 왜 김준영씨와 여성개발자로 표기했죠?? 여성개발자는 그 개인의 자아보다 여성이라는 점이 주가 되는 건가요? 이렇게 당당한 성차별을 보고 있으니 심히 당황스럽네요... 개발자라는 직업군이 여성이 극소수라 전국에 열명내외인 상황도 아닌데 어째서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이름을 가릴 정도로 메인이 되었죠?

박성국 2017-11-02 01:28:57
본 기사인 "광고 보다 빠졌다"... '레든' 게임 개발스토리 4백만 명이 '관심'에서 매우 부적절한 표현을 발견해 정정을 부탁드립니다.

인디 게임 개발자 이유진님은 래든(REDDEN)의 개발자 중 한 분으로서, "래든 개발자"에 대비되어 "게임을 만든 여성 개발자"로 익명으로 표현된 부분이 매우 부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한국컨텐츠진흥원 <2017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의 전체 게임 이용률을 봐도 남성 75.0%, 여성 65.5%로 여성 게이머의 수가 압도적으로 적지 않습니다. 이런 사회에서 개발자로서 역할을 다한 (계속)

박성국 2017-11-02 01:28:16
개발자를 본명이 아니라 특정 성별을 가진 익명으로 지칭하는 것은 사회에서 여성 게이머나 여성 개발자가 가지는 현실을 왜곡해 전달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게다가, 이건 특정 업무나 작품을 자신의 이름을 걸고 만드는 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가 아니라고 봅니다. 어떤 개발자도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개발자"로 불리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남성 개발자는 본명으로 호명하면서 여성 개발자는 익명으로 호명하는 것은 젠더 중립적이지 않은 매우 부적절한 표현입니다.

빠른 보도 정정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