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대출 추정손실 2조원에 달하는데...손실 대응 능력은 도리어 '후퇴'
상태바
4대 금융지주, 대출 추정손실 2조원에 달하는데...손실 대응 능력은 도리어 '후퇴'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2.28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대 금융지주, 추정손실 1조9660억원
전년 대비 48.8% 급증한 수치
고정이하여신 역시 47% 늘어
역대급 충당급 적립으로 건전성 관리 중
그러나 손실흡수능력은 전년 대비 오히려 후퇴
4대 금융지주.[사진=각사 제공]<br>
4대 금융지주

 

국내 4대 금융지주가 회수 불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해 사실상 포기한 부실채권 규모가 2조원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지주들은 부실채권발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충당금을 쌓고 있지만 전년 대비 손실흡수능력은 도리어 악화된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충당금 적립 외에도 부실채권 상각 혹은 매각 조치를 통해 올해 건전성 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며 "npl커버리지비율이 높다고 자만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작년 말 기준 추정손실 대출잔액은 총 1조966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 1조3212억원 대비 48.8%(6448억원) 급증한 수치다. 

지수사별로 살펴보면, 신한금융이 2023년 7514억원의 추정손실을 보여 전년 5759억원 대비 30.5%(1755억원) 늘었다. 액수로는 4대 금융지주 중 가장 큰 수치다. 

이어 우리금융이 작년 4790억원의 추정손실을 보여 전년 2980억원 대비 60.7%(1810억원) 증가해 2위를 기록했다. KB금융의 작년 추정손실은 3926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2123억원과 견줘 84.9%(1803억원) 늘었다. 하나금융은 작년 3430억원의 추정손실을 보여 전년 2350억원 대비 46%(1080억원) 불어났다. 

농협금융은 추정손실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계열사인 농협은행이 작년 1335억원의 추정손실을 기록해 전년 1179억원 대비 13.2%(156억원) 증가했다. 

은행연합회
은행연합회

 

금융지주사들은 통상 부실 위험성이 낮은 순서대로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5단계로 대출을 분류한다. 은행업감독규정에 따르면, 추정손실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되면서 회수불능이 확실해 손실처리가 불가피한 채권을 뜻한다. 즉, 금융회사 입장에선 전혀 돌려받을 수 없는 돈이다. 

작년들어 지주사들의 추정손실이 급증한 데에는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경기가 침체국면에 접어들면서 차주들의 기초체력이 악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추정손실을 포함한 4대 금융지주의 전체 고정이하여신 또한 작년 말 기준 7조9378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말 5조3997억원 대비 무려 47%(2조5381억원) 급증했다. 

이에 지주사들은 작년 말 8조9931억원에 달하는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며 부실채권발 건전성 위기에 대응하는 모습이다. 충당금 잔액은 전년 5조2714억원 대비 70.6%(3조7217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역대급' 충당금 적립 기조를 이어갔음에도 도리어 위기상황 대처능력을 보여주는 손실흡수능력은 후퇴했다는 지적 역시 나온다. 4대 금융의 NPL커버리지비율은 작년 평균 187.5%를 기록해 1년 전 209.7%와 견줘 22.2%포인트(p) 줄었다. 금융당국은 지주사에 최소 100%를 넘길 것을 권하고 있어 아직 여유가 있으나 지금과 같은 고금리 국면이 장기화된다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전히 금융지주사들에 상황이 좋게 흘러가진 않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의 작년 건설업 분야 대출 연체율은 0.79%를 기록해 전년 0.34% 대비 0.45%p나 늘었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은 또한 0.17%에서 0.33%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0.39%로 연체율이 각각 0.16%p, 0.13%p씩 상승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나 되서야 금리인하를 기대할 수 있어 금융업계도 올해가 고비라고 생각하고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