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지난해 이자장사로만 41조 넘게 벌어...연체율 역시 상승해 건전성은 '빨간불'
상태바
5대 은행 지난해 이자장사로만 41조 넘게 벌어...연체율 역시 상승해 건전성은 '빨간불'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2.27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은행, 작년 이자이익 41조3878억원
전년 대비 4.9% 불어나 역대 최대
고금리 시기에 대출잔액 크게 늘었기 때문
연체율 역시 상승하고 있어
은행, 대손충당금 적립해 건점성 관리 중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작년 5대 시중은행이 41조원이 넘는 이자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시기에 기업대출을 필두로 대출 잔액마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덩달아 가계와 기업을 가리지 않고 연체율 또한 늘어나고 있어 시중은행들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들어온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작년 유래없는 고금리 상황에서 기업대출을 필두로 대출 잔액이 늘어나 이자이익이 늘었다"며 "올해 금리 인하를 단행한다면 이자이익이 소폭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자이익은 총 41조3878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39조4612억원 대비 4.9%(1조9266억원)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이 9조8701억원의 이자이익을 시현해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 8조4027억원, 하나은행 7조9174억원, 농협은행 7조7616억원, 우리은행 7조4360억원 순이다.

이자이익이 크게 불어난 데에는 작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된 상황에서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잔액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의 작년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767조3139억원을 기록해 전년 703조6746억원 대비 8.2%(63조6393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잔액은 소폭 감소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은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5대 은행의 작년 말 기준 주담대 잔액은 529조8922억원으로 전년 513조1416억원과 견줘 3.1%(16조7506억원) 불어났다. 

그러나 연체율 또한 빠르게 늘고 있어 은행의 자산 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농협은행의 작년 전체 대출 연체율은 0.43%로 집계돼 전년 0.27%보다 0.16%포인트(p) 상승했다. 하나·우리·신한은행의 작년 연체율은 0.26%를 기록해 전년 0.2%·0.22%·0.21% 대비 각각 0.06%p, 0.04%p, 0.05%p 증가했다. 국민은행 또한 같은 기간 0.16%에서 0.22%로 늘어나 0.06%p 올랐다. 

[출처=대한민국 법원]<br>
[출처=대한민국 법원]

 

고금리에 따른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차주들의 기초체력이 약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7일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실제로 작년 법원에 파산신청을 낸 법인만 1657곳으로 집계돼 전년 1004건 대비 65%(653건) 늘었다. 

이에 은행들은 앞다투어 '역대급'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은행의 그룹사인 5대 금융지주가 작년 동안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11조1952억원으로 집계돼 1년 전 6조2960억원 대비 무려 43.7%(4조8892억원) 증가했다. 

지주별로 따져보면, KB금융지주가 3조1464억원의 충당금을 쌓아 많았다. 이어 신한금융지주 2조2512억원, NH농협금융지주 2조1018억원, 우리금융지주 1조8810억원, 하나금융지주 1조7148억원 순이다.

또 은행들은 대출 문턱을 높여 전체 대출을 조이는 식으로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다. 앞서 주요 은행들은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을 1.5~2%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당국에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지난 7일 국민은행은 주담대 변동·혼합 금리를 각각 0.23%p 인상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역시 19일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0.05~0.2%p씩 올렸으며 우리은행은 오는 28일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0.1~0.3%p 가량 상향할 예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은 은행들이 연체율과 부실채권을 감내 가능하다고 보고 있어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된다"면서도 "만약 상황이 악화될 시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여러 조치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