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보험 무한경쟁 돌입...대형손보사, '자회사추진·조직신설' 드라이브
상태바
펫보험 무한경쟁 돌입...대형손보사, '자회사추진·조직신설' 드라이브
  • 윤덕제 기자
  • 승인 2024.01.15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반려동물 관련 산업 고성장...펫보험 가입률 낮지만 성장잠재력↑
- 펫사업 전담부서 신설, 자회사 설립 검토 등 시장 확장 드라이브
- 다양한 상품·서비스 개발 위해 동물병원 진료체계 표준화 등 제도개선도 필요
[출처=Pixabay]

 

상품 가입률이 극히 저조한 반려동물보험 시장이 연초부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고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펫보험 전담부서 신설, 자회사 추진 등 펫보험 사업 역량을 잇따라 강화하고 나섰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험은 올해 신사업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일환으로 재보험 전담부서와 함께 펫사업 전담부서를 신설해 시장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처음으로 펫보험을 출시한 KB손해보험은 관련 시장 후발주자라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업계 최초로 자기부담금을 없앤 'KB 금쪽같은 펫보험'을 선보였다. 치료비 보장 비율도 업계 최고인 90%까지 확대했다.

KB손해보험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펫보험 전담부서를 통해 신상품 개발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을 위해 반려동물 시장과 연계된 다른 산업군과의 협업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삼성화재와 DB손해보험은 최근 펫보험의 급성장 추세를 반영해 펫보험 전문 자회사 설립을 검토 중이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판단되는 만큼 다른 산업과의 확장성을 위해서는 별도 펫보험 자회사 운영이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0월 삼성화재를 비롯한 삼성그룹 금융계열사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 관련 산업을 주목해 반려동물을 테마로 한 상품 기획전도 진행한 바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려동물 양육고객 대상으로 삼성 금융사(카드·증권·보험)들이 모여 관련 상품들을 출시하고 고객혜택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향후 삼성화재가 펫보험 전문사 설립 시 삼성생명 등이 지분투자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처럼 펫보험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가 예고되면서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다양한 신상품 출시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월 DB손해보험은 가성비 높은 '펫블리 반려견 보험'을 출시하며 반려동물 의료비를 업계 최고 수준인 2000만원까지 끌어올렸다. 견주가 입원해 반려동물을 애견호텔에 맡길 때 발생하는 비용을 지급하는 이색 담보도 탑재했다. 

현대해상도 지난해 7월 보호자와 반려견 모두를 보장하는 '현대해상굿앤굿우리펫보험'을 출시하며 눈길을 끌었다. 이 상품은 동물병원 의료비 1일 보상한도를 15만원 또는 30만원으로 선택할 수 있고, 수술받은 경우 하루 최대 250만원까지 보상한다.

국내 펫보험 시장 점유율 1위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보험료를 최대 28%까지 낮춰 가격 공세를 통해 선두 굳히기에 나서기도 했다.

정부의 펫보험 활성화 지원도 관련 산업 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정부와 금융위원회는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반려동물 활성화를 위해 ‘반려동물보험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반려동물 진료 인프라를 개선하고, 진료 항목 표준화, 반려동물 등록제도 등 필요한 제도를 정비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동물 의료·보험 간 연계·협력 강화, 보험료를 낮춘 상품 출시 검토 및 반려동물 전문보험사 진입도 허용된다.

보험업계에서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늘고 있으나 펫보험 가입률은 1%대에 머물러있는 만큼 시장 성장 여력은 크만큼 커징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펫보험을 판매하는 10개 손보사의 작년 10월 말 기준 신계약 및 보유계약 건수는 각각 4만8325건, 10만119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8%, 41% 증가한 수준이다. 

손해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펫보험은 반려동물 양육비·진료비 경감과 연관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아직 가입률은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최근 정부에서도 반려동물보험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만큼 동물병원 진료체계 표준화 등의 제도개선을 통해 다양한 상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덕제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