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비 3000원인데 기술료가 2만6000원?”…삼성 가전 A/S 공임비, 정해져있지만 소비자에겐 비공개
상태바
“부품비 3000원인데 기술료가 2만6000원?”…삼성 가전 A/S 공임비, 정해져있지만 소비자에겐 비공개
  • 우연주 기자
  • 승인 2023.07.31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산에 코드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오는 기술료…”수리 기사 주머니에 들어가는 돈 아니다”
“다양한 제품 라인업과 부품 종류 때문에 소비자에게 다 공개하기에는 번거로울 것”
[사진=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 캡쳐]
[사진=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 캡쳐]

“시골 부모님 댁 삼성 냉장고 고장으로 수리 서비스를 받았는데, 부품비는 3000원인데 출장비 2만원, 기술료 2만6000원이 책정됐습니다. 출장비는 홈페이지에도 공지되어 있으니 그런가보다 하는데, 기술료는 대체 무슨 기준으로 책정된 건지 모르겠습니다. 노인이라고 사기친 건 아닌가요?”

여름철 냉방 기기 A/S 문의가 많아지면서 소비자와 수리 기사가 ‘기술료’ 때문에 얼굴을 붉히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어 그 원인에 이목이 쏠린다.

31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기술료는 본사가 미리 산정한 표에 정해져 있지만 세부 내역 전체를 소비자에게 공개하지는 않기 때문에 오해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에서 수리 기사로 오래 일해 온 A씨는 “현장에서 기술료가 얼마라고 안내하면 기술료에대해 잘 모르는 소비자는 클레임(항의)을 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고 증언했다.

삼성전자서비스에 소속된 본사 수리 기사라면 기술료를 임의로 산정할 수는 없다. A씨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가전 회사마다 ‘이 부품을 교체하는 데에는 이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라고 책정해 놓은 기준이 있다”며 “우리도 그 기준에 따라 기술료를 안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국내 가전 대기업 관계자 B씨도 본지에 “전산으로 코드를 입력하면 기술료를 계산해 주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자체 기준에 의해 산정되기 때문에 제품과 부품이 같으면 기술료도 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기술료에 관심을 갖고 찾아본 소비자 C씨는 본지에 “다수의 영수증을 분석한 결과, 비슷한 라인업에서 같은 종류의 부품을 수리한 경우 기술료는 똑같았다”라고 말했다.

소비자에게 기술료 계산 시스템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로는 번거로움과 지적 재산권이 꼽힌다.

B씨는 “제품 하나에 수 십 가지의 부품이 들어가고, 지금까지 생산된 제품은 셀 수 없이 많다”며 “부품을 하나 수리했을 때와 여러 개 수리했을 때의 계산 방식도 다르고, 소비자에게 이 모든 것을 공개하는 것은 어렵다”라고 말했다.

A씨는 “특허가 걸려 있거나, 회사마다 제품을 분해하는 방식이 달라 노하우가 유출될까봐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라고 말했다.

본사 소속 수리 기사가 방문했을 경우, 기술료는 본사에 바로 넘어간다는 점도 알려졌다. A씨는 “본사 정직원 수리 기사는 기본급에 방문 횟수에 따른 약간의 인센티브를 받는다”며 “기술료나 부품료 등 현장에서 받는 비용은 모두 본사로 넘어가기 때문에 수리 기사가 이득을 챙기는 부분은 없다”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 수리처럼 공임비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국내에 가전 협회가 없기 때문에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표준협회는 본지에 “자동차 부품의 경우 자동차 관련 회사들이 모인 협회가 평균작업시간과 공임비를 산출해 공개한다”며 “가전의 경우 그런 협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연주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