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점포 찾기 어렵다"...금융 소외계층은 어디로 가야 하나
상태바
"은행점포 찾기 어렵다"...금융 소외계층은 어디로 가야 하나
  • 이영택 기자
  • 승인 2022.09.23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 거래 활성화 및 디지털화...점포 축소로 이어져
우체국과 위탁업무협약, 공동점포 개점으로 접근성 유지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의 공동점포 내부 모습. [이미지=신한은행]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의 공동점포 내부 모습. [이미지=신한은행]

금융업계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모바일 앱을 통한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은행 점포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지점 수도 급감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대면 거래를 선호하는 금융 소외계층의 접근성이 떨어져 보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 외 지방일수록 은행 접근성이 떨어지는데다가, 정작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대면거래를 선호하는 고령자가 많아 시중은행 접근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 2020년 말 시중은행 점포 수는 3139개로, 지난해 대비 117개, 최근 5년간 534개가 감소했다.

23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시중은행들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ATM 사용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7월 고령층을 위해 찾아가는 금융서비스인 ‘KB 시니어 라운지’를 개설했다. 주 1회 정해진 요일마다 대형차량을 통해 서울시 자치구 내 노인 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하는 방식이다. 해당 점포에선 입출금과 통장 재발행, 연금 수령 등의 업무를 볼 수 있다.

신한은행은 비대면 서비스에 능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해 특화상담 고객센터를 출범했다. 스마트 키오스크 등 디지털기기 관련 상담, 청각장애인과 시니어 고객 등을 위한 마음맞춤 상담 등 고령층을 대상으로 빠르고 정확한 안내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화 상담사와 시니어 고객을 위한 전담 상담사를 별도 채용하기도 했다.


시중은행, 우체국과 업무위탁 계약 체결...11월부터 서비스 개시


지난 6월 4대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은 우체국과의 업무위탁협약을 체결했다. 해당 업무협약으로 오는 11월부터 전국 2482개의 우체국 지점에서 입출금, 계좌조회 등의 은행 단순업무를 볼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통합 리더기 약 8000대를 전국 우체국 금융창구에 순차적으로 보급 및 교체할 예정이다. 또한 위탁업무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수행을 위해 올해 금융결제원의 전산망 중계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업계 관계자는 “업무협약으로 인해 4대 시중은행의 영업점이 없거나 축소된 지역에서의 금융 소외 심화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답했다.

이어, “하지만 입출금, 계좌조회 등의 기본 업무만 가능하기 때문에 대출 및 금융상품 상담 같은 일은 여전히 결핍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은행 공동점포로 임대료 아끼고, 접근성 높여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경기 용인 수지구에서 같은 공간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공동점포’를 개점했다. 양 은행은 절반의 공간을 사용하며 각각 2명의 직원을 배치했다. 양 은행은 경쟁 과열의 우려가 있어 입출금 및 잔액 조회 등의 기본업무만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5일 신한은행과 국민은행도 경기 양주와 경북 영주에 공동점포를 개점했다. 양주의 경우 신한은행이 KB양주고읍지점으로 이전하며, 영주의 경우 KB국민은행이 신한고읍지점으로 옮겼다. 하나은행·우리은행 공동점포와는 달리 기존의 점포처럼 여신상품 가입 및 대출 상담이 가능하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공동점포 추가 개점에 대해 “부서 검토 후 향후 추가 개점할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위치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며 “지역 상황이나 입지, 또는 타 은행과 협업할 수 있는 사안이 되는지에 따라 위치가 정해질 것”이라고 <녹색경제신문>에게 전했다.

이어, “현재는 국민은행과 함께 공동점포를 개점했지만, 협력 파트너를 국민은행으로 한정짓지 않고 있다”며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공동점포를 운영하는 타 은행과 협업을 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공동점포가 금융 소외계층의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은 맞지만, 아직 전체 은행 점포 수에 비해 현저히 적다고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충분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하지만, 보여주기식 마케팅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동점포가 대책안처럼 보이나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곳은 겨우 3곳”이라며 “공동점포보다 디지털 점포 수가 훨씬 많을 것을 보면 금융 소외계층보다 디지털에 익숙한 2030대를 공략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영택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