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배송로봇' 규제 풀린다... 이미 상용화된 미국은 어떨까?
상태바
우리나라도 '배송로봇' 규제 풀린다... 이미 상용화된 미국은 어떨까?
  • 이용준 기자
  • 승인 2022.06.14 1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생활물류법 개정 '배송로봇' 시장 규제 완화
리프랙션AI·칙필레, 텍사스 오스틴 지역 '자율배송' 테스트
스타십테크놀로지스, 미국 전역 대학캠퍼스 '로봇배송' 서비스 제공

물류·유통업계간 라스트 마일 시장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배송로봇 관련 규제 완화가 점쳐지면서 업계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아직 안전성 문제가 산재해 섣부른 규제 완화는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이에 <녹색경제신문>이 이미 자율주행 배송로봇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미국의 현재를 살펴보며 한국의 미래를 엿본다.

[사진=unsplash]
[사진=unsplash]

정부, 생활물류법 개정하고 ‘배송로봇’ 시장 키운다

윤석열 대통령이 “규제개혁이 곧 국가성장”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밝힌 가운데 정부가 신산업분야 규제완화 패키지를 공개하면서 이목이 집중된다. 특히 유통부문 드론·무인로봇 허용 범위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규제개혁위원회를 열어 무인이동체 5건을 비롯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5건, 바이오헬스케어 10건, 에너지·신소재 10건 등 총 33건 규제개선 방안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생활물류서비스산업 발전법(이하 생활물류법) 개정을 통해 전방위적인 배송로봇 시장 경쟁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행법상 택배사업 수단은 이륜차와 화물차만 허용하고 있다. 정부는 “드론, 로봇 배송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이들을 활용한 격오지 배송 등 생활물류 서비스의 생산성 향상 및 소비자 편의를 제고하겠다”고 밝히며 현행 생활물류법 개정을 통해 드론, 자율주행 배송로봇 신산업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방침이다.

물론 여소야대 국면에서 법 개정 난관은 있지만 윤 대통령이 강력한 규제철폐 의지를 보이면서 자율주행 배송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이에 선제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이미 배송로봇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미국 시장의 현재가 주목된다.

배송로봇 업체 리프랙션의 3륜형 자율주행 로봇이 식료품 운송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출처=Refraction AI 공식 유튜브]
Refraction AI introduces the REV-1 - YouTube

일상을 달리는 미국의 자율주행 배송로봇

미국은 2016년부터 실외자율주행로봇 운영을 위한 PDD(Personal Delivery Device)법2을 제정했다. 2017년부터는 배송로봇 관련 규제철폐를 확대하고 실제 도보 주행 테스트를 본격화했다. 이에 따라 현재 버지니아 주를 시작으로 펜실베니아, 콜로라도, 위스콘신, 워싱턴 등 30개 가까운 자치주에서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을 운영하고 있다.

먼저 미국의 치킨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칙필레(Chick-fil-A)는 최근 텍사스 오스틴 지역에서 배송로봇 업체 리프랙션(Refraction AI)의 자율배송 서비스 테스트하고 있다.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칙필레는 리프랙션의 3륜형 자율주행 로봇을 도입하고 오스틴 시내 1마일(1.6km) 내 실외배송을 실험하고 있다.

리프랙션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는 AI 기반 자율주행부터 원격조작까지 가능해 인도 내 배송제약을 최소화했다. 이밖에 리프랙션은 자율배송은 에너지소비량을 줄여 친환경적이란 설명이다. 리프랙션은 로봇 서비스를 통해 탄소배출량과 에너지소비량을 각각 90%, 80%까지 감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칙필레 운영자 루크 스테이그미어(Luke Steigmeyer)는 “리프랙션 로봇을 활용한 자율배송은 칙필레 서비스를 더 많은 고객에서 확장할 수 있는 흥미로운 기회를 창출한다”며 “또 지역사회를 깨끗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면서, 식당 반경 1마일 내에서 고품질, 고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고 평가했다.

리프랙션은 최근 레스토랑, 식료품점 등에 활용 가능한 라스트 마일 자율 로봇배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리프랙션은 오는 6월부터 칙필레와 협업을 강화하고 오스틴 지역 내 자율배송 서비스 구축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스타십테크놀로지스가 테네시대학교 캠퍼스 내부에서 로봇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사진출처=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공식 유튜브]
Food Delivery Robots are Coming to Rocky Top! - YouTube

한편 샌프란시스코가 본사인 스타십테크놀로지스(Starship Technologies)는 지난 3월부터 미국 테네시주 소재 테네시대학교(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에서 로봇 음식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배달수요가 많은 젊은 세대와 로봇의 상호작용을 실험하는 동시에 향후 실제 배송로봇 경험이 있는 인재고용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스타십테크놀로지스가 운영하는 자율주행 로봇은 비효율적인 라스트마일 배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특히 대학캠퍼스 내부 테스트를 확대하면서 배송로봇의 캠퍼스 커뮤니티를 연구하고 있다.

스타십테크놀로지스는 2019년부터 캠퍼스 배송로봇 운영을 시작해 현재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조지 메이슨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 등 미국 전역 캠퍼스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수백만 마일, 3백만개 이상 자율배송 운행을 완료했다.

한 외신은 스타십의 설문조사를 인용하며 미국 전역 20개 이상 캠퍼스에서 7063명 대학생 중 60% 이상이 로봇배송을 만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64% 학생은 배송로봇 덕분에 식사 편의성이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30% 학생은 비대면 배달 덕분에 캠퍼스가 안전해졌다고 느꼈다. 또 61% 학생은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배송로봇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말했다.

장애인·반려동물 이동권 제한, 안전문제는?

한편 배송로봇 관련한 안전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주로 다양한 사회주체들의 이동권 제한 문제가 쟁점이다. 배송로봇은 반려동물, 자전거, 어린이를 포함해 시각·청각장애인 등과 도보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게 된다. 자율주행 로봇은 라이다(LiDAR) 센서, 다중카메라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충돌변수를 통제 및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배송로봇 관련 안전사고 발생시 보험료 산정 기준이 불명확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요컨대 단순히 배송로봇의 기술적 발전뿐 아니라 사회 전방위적인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미국도 배송로봇 상용화에 속도를 내면서 안전문제로 다양한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고속도로 안전 연구센터 엔지니어 마이클 클래먼(Michael Clamann)은 한 외신과 인터뷰에서 산업로봇와 다른 실외자율주행로봇(개인배달기기, PDD)의 다양한 충돌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는 작은 배송 로봇의 안전위협이 크지 않다면서도 “안전기준이 명확하고 로봇 알고리즘이 비교적 단순한 물류센터 로봇들도 화재와 충돌사고를 야기한다”며 “(PDD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오류가 나면 특정 상황에서 충돌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마이클은 지난 4월 노스캐롤라이나주가 PDD 도입을 위한 법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입법논의에서 지역사회단체를 제외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PDD 관련 안전지침 법안제정을 위해 로봇 기술 회사들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주체가 초청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준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