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게임 체인저’ 될까…삼성도 투자
상태바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게임 체인저’ 될까…삼성도 투자
  • 김윤화 기자
  • 승인 2022.05.30 1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록체인, 배출권시장 유동성 증가 기대
플로우카본, 7000만 달러 투자유치
한계도 뚜렷…“탄소상쇄 효과 없어”
[출처=Unsplash]

탄소배출권을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손쉽게 사고 팔 수 있을까.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이 유동성이 부족한 기존시장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배출권 토큰 발행사 플로우카본(Flowcarbon)은 이달 펀딩에서 7000만 달러를 유치했다. 우리나라 삼성전자도 투자에 참여했다. 다만 탄소저감 효과를 보는 시선은 엇갈린다.

SK증권 한대훈 연구원은 “(현재 배출권 시장은) 인프라 미비와 공급 우위의 시장 구조로 인해 감축비용 절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배출권 유동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사례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플로우카본, 우리돈 880억원 투자유치…“배출권, 손쉽게 거래가능”


플로우카본 파트너사 및 투자사. 이중에는 삼성전자 자회사 삼성넥스트도 있다. [출처=플로우카본]

플로우카본은 기존 탄소배출권 시장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플로우카본은 현재 배출권 거래시스템을 “불투명하고 분열된 시장 인프라”라고 설명한다. 공급량이 제한적이고 거래 접근성이 낮아 유동성이 경색됐기 때문이다.

이에 플로우카본은 배출권을 기반으로 한 토큰을 만들어 유동성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첫 번째 토큰은 'GNT'다. 최근 5년 간 진행된 탄소감축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배출권(크레딧)을 기초자산으로 한다.

탄소 크레딧이 토큰에 연동되며 개인이나 기업은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손쉽게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토큰 구입만으로 탄소감축 프로젝트에 자금을 제공하고, 감축 크레딧을 얻는 구조다.

이러한 아이디어에 전 세계 투자자들이 몰렸다. 현지시각 24일 플로우카본은 첫 투자 라운드에서 총 7000만 달러(약 880억원)를 조달했다. 각각 벤처투자 3200만, 토큰판매 3800만 달러 씩이다. 펀딩은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크립토가 주도했으며 우리나라 삼성넥스트도 투자에 참여했다.

다만 배출권을 블록체인 기술과 연동한 아이디어는 이전부터 존재했다. 2018년 IBM은 베리디움랩스와 탄소배출권 토큰화 작업에 착수했다. 지난 3월부터 저스트카본(JustCarbon)은 이미 배출권 기반 토큰(JCR)을 발행하고 있다.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저감 효과 두고 의견 분분…“그린워싱 우려는 비약”


작년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탄소크레딧 시장에 반대시위를 하는 그린피스 운동가들. [출처=그린피스]

이 가운데 카본플로우 사업모델이 탄소저감 효과가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카본플로우는 자발적 탄소시장(VCM)을 기초로 한다. 자발적 탄소시장은 민간 탄소감축 프로젝트에서 탄소를 상쇄한 만큼 배출권(크레딧)을 제작해 판매한다.

기존 규제시장은 감축의무가 할당된 기업을 대상만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비의무기업이나 개인, NGO(비정부기관) 등의 시장 참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보완적 성격으로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생했다.

문제는 탄소크레딧이 계속 거래되는 한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일대 경제학교수 로버트 멘델손은 “블록체인이 잘하는 보안은 현재 시장에서 중요한 게 아니다”라며 “문제는 탄소크레딧이 그 자체로 탄소저감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저스트카본이 제작한 토큰은 소각되어야 탄소저감 효과가 인정된다. 그렇지 않고 시중에 유통되는 토큰은 저감효과가 없는 셈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기업이 크레딧 구매로 배출저감 의무를 등지는 것이다. 스웨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이를 두고 “기업들이 돈을 내고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라며 “탄소상쇄는 위험한 기후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비판에 플로우카본, 저스트카본 등은 베라(Verra), 골드스탠다드 등 공인된 검증을 받은 배출권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시장이 과열되는 과정에서 그린워싱이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며 “다만 시장 초기 단계에서 이런 우려는 비약으로 본다. 시장성장 과정에서 제도와 규제가 확립되면서 이러한 위험도 통제가능해질 것”이라고 <녹색경제신문>에 전했다.

김윤화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