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로 뭉친 효성, 그린뉴딜 순풍 달까
상태바
수소로 뭉친 효성, 그린뉴딜 순풍 달까
  • 서창완 기자
  • 승인 2020.07.17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U 그린딜·국내 그린뉴딜 청사진 발표… 수소가 대세
효성중공업-효성화학-효성첨단소재 수소 시너지 기대
서울 여의도 국회에 있는 수소충전소. [사진=하이넷]
서울 여의도 국회에 있는 수소충전소. [사진=하이넷]

효성그룹이 수소 경제 수혜 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수소를 미래 중요한 산업으로 내세우는 정책들을 발표하면서 성큼 다가온 느낌이다. 그동안 정부 주도 아래 수소 경제가 제시되는 동안에도 국내 환경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더 컸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나라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반이 5% 정도로 낮은 수준이라 수소 경제를 추진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 있었다.

수소 경제가 급부상한 데는 EU가 그린딜 정책을 발표하면서 수소 활성화에 뛰어든 요인이 크다. EU 집행위원회가 지난 8일 발표한 수소 전략에서 관련 누적 투자 규모만 최대 4700억 유로(약638조6000억원)일 정도로 규모가 크다. 수소 운송, 충전 등 인프라 확충과 그린수소 제조를 위한 재생에너지 건설 등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EU가 수소를 미래 산업 전략으로 채택했다는 의미다.

미국에서는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이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탄소배출 제로 차 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그린뉴딜에 5년간 73조4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구체적 청사진을 내놓은 만큼 당분간 수소 관련 기업들의 기대감은 높아질 전망이다.

효성그룹에서 수소 경제와 관련해 가장 기대되는 기업은 효성중공업이다. 수소충전소 시장점유율 국내 1위 기업으로 지난해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34곳 가운데 14기를 효성중공업이 운영하고 있다. 수소 경제에 대한 상징적 의미로 주목받았던 여의도 국회 수소충전소를 건설한 기업도 효성중공업이다. 정부가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660기까지 확충한다고 발표한 만큼 앞으로 수주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효성중공업의 사업 부문은 크게 중공업과 건설로 나뉜다. 송배전설비·시스템엔지니어링·신재생에너지·주택과 건축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회사 자체적으로는 세계적인 노후 설비 교체 수요와 신흥국들의 전력 수요,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재생에너지 개발 등을 주요 성장 요인으로 지켜보고 있다.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 수소 경제 흐름에서 효성그룹은 이를 주도할 만한 가치사슬을 갖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효성중공업의 가장 큰 강점은 그룹사 시너지가 가능하다는 점”이라며 “부생수소를 생산하는 효성화학, 수소탱크 핵심 소재인 탄소섬유를 제작하는 효성첨단소재 등이 있어 수소 경제의 확산 과정에서 효성 그룹의 역할은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나 연구원은 “효성중공업이 태양광 EPC(설계, 구매, 시공)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 경험이 있는 만큼 그린수소 생산(재생에너지 여유분을 활용한 수전해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며 “이는 압축천연가스(CNG)/액화천연가스(LNG) 등 가스충전소 운영 경험이 접목된 수소충전소로의 안정적 공급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수소충전소에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상존한다는 점에서 효성중공업이 가진 자신감은 주목할 만하다. 효성첨단소재가 수소탱크의 핵심 소재인 탄소섬유를 생산하는 만큼 안전성과 대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소탱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효성중공업 관계자는 “수소충전소를 폭발하지 않도록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수소탱크를 만들 때 철보다 강하면서 가벼운 특수 섬유인 탄소섬유가 탱크를 감싸는 만큼 안전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효성중공업은 수소 이동을 편하게 하는 액화수소공장 설립을 위해 지난 4월 독일 린데그룹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수소탱크에 쓰이는 탄소섬유 생산 라인도 2개에서 10개로 늘리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했다.

효성중공업 관계자는 “울산 용연공장 내 만드는 액화수소공장의 경우 기존에 DH(탈수소화) 공정이 있는데, 그 수소를 활용하는 것으로 그레이 수소라고 보기도 어렵다”면서 “앞으로 그린수소에 대한 확대도 계속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