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 정규직 전환
상태바
수자원공사,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 정규직 전환
  • 양현석 기자
  • 승인 2018.09.03 07:45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환대상 비정규직 근로자 1227명 정규직 전환 완료
수자원공사의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면서, 전환대상 비정규직 근로자 1,227명의 정규직 전환이 완료됐다. 사진은 수자원공사 본사 전경.

수자원공사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이 9월 1일부로 정규직으로 전환됨에 따라 수자원공사 전환대상 비정규직 근로자 1227명이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2일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는 지난해 기간제근로자 23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데 이어,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을 올해 9월 1일부로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7월 정부에서 발표한 ‘공공기관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사 내의 전환대상 비정규직 근로자 1,227명의 정규직 전환을 완료했다.

이는 수자원공사의 비정규직 근로자 1,678명 중 73%에 해당하며, 나머지  451명은 일시·간헐적 직무종사자 등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규직 전환대상에 제외된 인력이다.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8월부터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와 시설관리, 경비, 기술용역, 사무관리 4개 분야에 ‘노사 및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공사 내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해왔으며, 앞서 지난 연말엔 기간제근로자 23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올해 6월에는 파견·용역 근로자 992명을 최종 전환대상자로 확정했다. 전환 과정에서 근로자 대표단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고 반영하기 위해 총 22회에 걸친 분과 협의체 회의 등을 가졌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된 992명 중 235명은 특수경비와 서무보조 직무 종사자로, 수자원공사에서 직접 고용했다. 나머지 757명은 시설관리, 일반경비, 청소, 취사, 운전, 콜센터, 홍보도우미 등 7개 직무 종사자로 지난 8월 21일 수자원공사의 자회사로 설립된 ‘케이워터 운영관리’가 고용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한편, 수자원공사는 정부의 가이드라인 발표로부터 1년 2개월 만에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매듭지면서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했다고 자평했다.  

고령자 친화 직종을 정부 권고안보다 확대 적용해 전환 대상자의 20%에 해당하는 195명의 정년을 65세로 연장했으며, 전환일 기준 정년을 초과한 근로자에게 1년의 유예기간을 부여해 18명의 근로자들이 퇴직 이후를 대비할 시간적 여유를 갖게 했다.

더욱이 기존에 파견·용역업체에 지급하던 이윤, 일반관리비 등을 최대한 활용해 기존 정규직과 유사한 수준의 복리후생비를 확보하는 등 전환 근로자의 처우도 개선하기로 했다. 전환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파견·용역업체와 협의를 거쳐 계약종료시점을 9월 말에서 8월 말로 조정했다.

수자원공사는 9월 초부터 전담반을 구성해 조직 융화를 위한 직무교육을 실시하는 등 근로자들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수자원공사는 이번 정규직 전환을 계기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차별 없는 일터 조성’, ‘일자리 질 개선’ 등 주요 일자리 정책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학수 수자원공사 사장은 “공기업 중 선도적으로 전환대상 근로자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전환된 직원들이 새로운 조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양현석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슈퍼갑 2018-09-05 00:18:12
“위험의 외주화 멈추고, 고용안정으로 더 안전하게”
http://m.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666

양면성 2018-09-04 23:57:02
[외주화 땐 단순작업자, 정규직화 논의 땐 고도 전문가] “국민 생명·안전업무만 30년 그래도 정규직 전환 안 되나요?”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864

두얼굴의 K 2018-09-03 18:44:49
수도 및 댐보시설 점검정비용역 정규직 전환 완료?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864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된 '물 관리 시설물‘ 용역은 왜?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