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중금리 대출 늘려라” vs 인터넷은행 “목표 맞추려 노력했는데” 속앓이
상태바
금융당국 “중금리 대출 늘려라” vs 인터넷은행 “목표 맞추려 노력했는데” 속앓이
  • 김호연 기자
  • 승인 2021.04.30 1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인터넷은행 “중금리 대출 목표 맞추려 다각도로 노력했는데..."
- 정부-당국 엇갈린 정책·열악한 재무건전성 부담
(사진=카카오뱅크)
(사진=카카오뱅크)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인터넷은행권의 속앓이가 이어지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앞으로 중금리 대출을 계획대로 공급하지 못하면 신사업 진출을 제한한다고 ‘으름장’을 놓아서다.

“중금리 대출 목표 맞추려 다각도로 노력했는데..."

인터넷은행들은 금융위원회의 신사업 진출 제한 방침에 겉으로 드러내진 않지만 억울해하는 모습이다. 

그간 금융당국과 협의를 거쳐 중금리 대출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금융당국이 더 많은 성과를 요구하며 제재 방침을 천명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5일 중금리대출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하면서 인터넷은행이 중금리 대출 공급계획을 달성하지 못하면 신사업 진출 제한 등의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인터넷은행의 설립 취지 중 하나가 중금리 대출 확대를 통한 서민 금융 확대인 만큼 그간 소홀했던 본분에 충실하라는 의미다.

은행권 관계자는 “카카오뱅크 등이 중금리 대출 공급을 2년 간 목표에 맞게 이행하려 노력한 것으로 안다"며 "금융당국의 중금리 대출 확대 취지는 이해되지만 지나치게 강경하게 나서니 당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연초 기자간담회에서 “카카오뱅크의 대출 잔액이 빠르게 증가하다 보니 중금리 대출의 비중이 작아져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며 “올해 중금리 대출 규모는 지난해보다 훨씬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2018년 금융위원회와 중금리 대출 발전방안 간담회를 갖고 향후 2년간 중금리 대출 공급 목표를 발표했다.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조원의 중금리 대출을 공급하기로 했다.

그 후 2019년 9785억원의 중금리 대출을 공급했고, 2020년 1조3818억원으로 목표치를 넘어섰다. 연간 평균 공급규모로 따지면 2년 연속 금융당국과의 약속을 지킨 셈이다.

케이뱅크는 자금난으로 전체 대출이 제한적이었지만, 자금 확보를 전제로 2019년 6000억원 공급을 제시했다. 목표는 이루지 못했지만 유상증자에 성공했고, 중금리 대출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 종로 소재 케이뱅크 사옥 전경.(사진=케이뱅크)출처 : 프레스맨(http://www.pressm.kr)
서울 종로 소재 케이뱅크 사옥 전경.(사진=케이뱅크)

정부-당국 엇갈린 정책·열악한 재무건전성 부담

정부와 당국의 엇갈린 방향성도 인터넷 은행을 난감하게 한다. 열악한 재무건전성도 중금리 대출 증가에 부담이 되는 요인 중 하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9일 가계부채 증가율을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4%대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대출 규제를 강화할 예정이지만 서민·청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가 대출 규제에 나선 만큼 중금리 대출 확대가 위축될 것이란 의견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위가 중금리 대출 확대를 주문했지만 정부는 가계부채 규제를 강화했다”며 “인터넷은행이 가운데에서 난감한 입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은행의 열악한 재무건전성도 중금리대출 확대에 부담을 느끼는 이유다.

카카오뱅크의 2020년 연체율은 0.22%다. 2018년 0.12%, 2019년 0.2%로 3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은행이 빌려준 채권이 100만원이라면 한달 넘게 연체가 발생한 채권의 회수 대상 총액이 2200원이라는 의미다. 돌려받은 돈은 적은데 빌려준 돈은 늘어난다는 의미다.

케이뱅크도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1054억원으로 전년 대비 46억원늘어난 상황이다. 손실이 늘어난 만큼 중금리 대출에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에 대한 중금리 대출 확대 요구가 꾸준한 가운데 인터넷은행의 재무건전성 개선은 앞으로도 숙제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연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