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사 “칼바람 분다”...도크 23%축소, 인력 32% 감축
상태바
조선3사 “칼바람 분다”...도크 23%축소, 인력 32% 감축
  • 허재영 기자
  • 승인 2016.10.31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11조 원 동원해 250척 이상 선박 발주 추진

정부가 수주절벽 심화로 극심한 위기를 겪고 있는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칼을 빼들었다.

정부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조선 3사의 건조설비(도크)와 인력의 감축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세계 조선 산업이 공급과잉 상태에 있지만 한국의 공급능력 감축 수준은 중국, 일본 등 세계수준에 비해 미흡하여 추가 감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도크 수를 현재 31개에서 24개로 23% 축소하고 직영인력 규모도 현재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으로 32% 감축해 나갈 계획이다.

유동성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조선산업별로 비핵심사업과 비생산자산은 매각 또는 분사, 자회사 매각, 유상증자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유휴도크 가동을 중단하고, 비조선해양 사업부문의 분사를 추진한다.

삼성중공업은 호텔, 선주숙소 등 비생산자산을 매각하고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승자를 실시할 예정이다.

부실규모가 크고 발주전망이 불확실한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14개 자회사를 비롯한 조선소 사업장 외 모든 부동산을 매각한다.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 회의' (사진 = e-브리핑 캡쳐)

한편 정부는 현 수주절벽 대응을 위해 11조원 규모 250척 이상 선박 발주를 추진한다.

2018년까지 7조5000억원 규모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하고, 2020년까지 3조7000억원의 자금을 활용해 75척 정도의 선박 발주를, 금융지원을 통해 115척 중소형 선박 신조발주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5년간 민간공동 연구개발(R&D)에 7500억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6600명도 양성해 선박산업 고부가가치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정부는 연1000억 달러 규모의 선박서비스 시장 진출을 통해 조선산업을 고부가가치 선박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허재영 기자  huropa@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