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코스피 2000선 붕괴된 8월, 공매도 업틱룰 예외 비중 최대 41.7%까지 치솟아"
상태바
[국감] "코스피 2000선 붕괴된 8월, 공매도 업틱룰 예외 비중 최대 41.7%까지 치솟아"
  • 이석호 기자
  • 승인 2019.10.04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이은 악재로 증시 폭락하던 시기인 8월 한 달간 업틱룰 예외로 거래된 대금만 2조 3947억
자료=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지난 8월 코스피 시장이 연일 급락하며 2000선을 크게 밑돌 때 공매도 업틱룰 예외 비중이 최대 41.7%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성남시 분당을)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22일 코스피 시장에서 업틱룰 예외 조항으로 거래된 대금이 공매도 거래대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1.7%까지 올랐다. 이날 하루에 업틱룰 예외 조항으로 거래된 대금은 1770억 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8월은 일본의 수출보복조치와 미·중 무역갈등, 홍콩 시위 등 대내외적 악재로 코스피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이었고, 코스피 2000선이 붕괴하는 등 연이은 악재로 증시가 폭락하던 시기였다. 

올해 평균 6%대였던 공매도 거래 비중이 이달에는 8%를 넘은 날이 전체 21거래일 중 13거래일이었다. 업틱룰 예외 조항 비중도 크게 늘었다. 30%를 넘는 날이 절반 수준이었고, 22일에는 최대 41.7%까지 기록했다. 8월 한달 간 업틱룰 예외로 거래된 대금만 2조 3947억에 달했다.

한편, 코스피 시장 전체 거래대금 중 공매도 거래대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2.6%에서 올해 6.72%로 늘었다. 같은 기간, 공매도 거래 중 업틱룰의 예외 적용을 받는 거래대금 비중 또한 2.19%에서 25.16%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업틱룰 제도는 공매도 집중으로 인한 주가하락 가속화와 투자심리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직전 가격 이하로 공매도 호가를 하지 못하게 하는 거래소 규정으로 지난 1996년 6월 처음 도입되었다. 처음 지수차익이나 신용거래 대주의 매도에만 적용되던 업틱룰 예외 조항은 이후 차츰 늘어났다.

문제는 업틱룰 제도에 대한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데 있다. 업틱룰 도입 이후 예외로 거래되는 대금은 급격히 늘었지만, 업틱룰을 위반해 거래소로부터 제재를 받은 건은 단 한건도 없었다.

김병욱 의원은 “업틱룰 위반에 대한 감시와 감독이 사실상 어려운 상태에서 업계 자율에만 맡기는 현 시스템으로는 주가하락 가속화와 투자심리 악화를 방지한다는 공매도 업틱룰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코스피 시장의 50%, 코스닥 시장의 70%가 개인투자자인 만큼 우리나라에 대한 특수성 고려없는 ‘글로벌 스탠다드’만 외칠 것이 아니라 업틱룰 제도를 악용한 허점은 없는지 전면적으로 검토하는 것과 동시에 금융당국의 감시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석호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