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튜닝산업 규모 20조원인데..."국내 튜닝산업 육성하면 일자리·환경·산업서 1석3조 효과 거둘 것" 
상태바
일본 튜닝산업 규모 20조원인데..."국내 튜닝산업 육성하면 일자리·환경·산업서 1석3조 효과 거둘 것" 
  • 양도웅 기자
  • 승인 2019.05.29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튜닝산업 규모 약 100조원, 국내 규모 약 5000억원... 규제 완화해 산업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 잇따라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 규모는, 전 세계서 국내 완성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에 비해 초라한 상황이다. 일본이 현재 20조원 내외 규모를 자랑하다면, 국내는 5000억원을 갓 넘는 수준. 이에 김필수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장은 국내 튜닝산업을 육성하면 일자리, 산업, 환경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는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튜닝하기 위해 내연기관차의 엔진을 빼낸 모습.

자동차 튜닝산업을 육성하면 1석3조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필수 자동차튜닝산업협회장(대림대 교수)은 29일 국회의원회관서 열린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자동차 튜닝산업이 활성화되면 일자리·산업·환경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정부는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튜닝하는 사람에 한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국회는 현재 발의된 '자동차튜닝산업법안'(윤영일 국회의원 외 9인 발의)을 신속 처리해주길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튜닝산업 규모는 5000억원 내외. 하지만 토론회 현장서 만난 한 튜닝업체 관계자는 "튜닝 관련 규제가 심해 '음성화'된 측면이 있다"면서 "규제가 풀려 양성화되면 5000억원보다 큰 규모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시장 규모 5000억원 이상, 전국 대학에 관련 학과만 30개에 육박하는 상황이지만 정부의 '지나친 규제'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상태다. 

특히, 전 세계가 '친환경차'로 자동차 산업의 중심축을 옮기는 상황에서 기존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바꾸는 흐름이 대세가 되고 있지만, 지나치 규제로 시장이 크지 않으면서 전기차로의 튜닝은 이래저래 부담스런 상황. 

또, 지난 3월 정부가 LPG차 구매를 일반에 허용하면서 연료가 저렴한 LPG차로의 튜닝도 현실화된 시점인 걸 고려하면, 자동차 튜닝에 대한 규제 완화는 필요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더군다나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완성차 선진국들이 자동차 튜닝 산업도 함께 키워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은 '블루오션'이라는 지적도 현장서 제기됐다. 

29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이종배 국회의원(자유한국당)과 윤영일 국회의원(민주평화당) 주최로 진행됐다.

김필수 회장은 "현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는 게 '청년 일자리 창출'이지 않느냐"면서 "튜닝산업을 육성해 대학에서 공부하는 청년들이 졸업 후 산업 현장에 나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또, "현재 일본의 튜닝산업 규모가 20조원을 넘어가는데, 우리가 일본의 1/4만 되더라도 5조원 규모의 산업이 조성되는 것"이라며 "자동차 튜닝은 기계가 아닌 대부분 사람이 튜닝 부품을 갖고 직접 손으로 하기 때문에 고용 창출 효과도 크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필수 회장은 튜닝산업이 주로 중소기업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점을 들어, 현대자동차의 역할도 따로 주문했다. 

김 회장은 "현대차도 튜닝산업에 뛰어들었는데, 현대차와 중소기업 간의 상생모델도 고민하고 있다"며 "현대차가 모듈을 튜닝업체에 제공하는 방식 등을 통해 현대차와 중소 튜닝업체가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장서 만난 한 튜닝업체 관계자도 "현대차가 모듈 몇 대만이라도 따로 공급해준다면 최근 수요가 있는 캠핑카 등을 제작해 판매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하지만 현재 법 체제 안에선 현대차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이종배 국회의원(자유한국당)과 윤여일 국회의원(민주평화당)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종배 의원은 축사에서 "세계 자동차 튜닝산업은 그 규모가 100조원이 넘을 정도로 활성화돼 있고, 미국·유럽·일본 등 튜닝산업 선진국들이 안전·배기가스·소음 등 3가지 기준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전면허용 하고 있다"며 "국내 튜닝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튜닝산업 선진국과 같이 안전과 관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허용하는 네거티브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양도웅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