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고 먼' 현대家 화해,현대중 상선 우선주 확대 무산시켜
상태바
'멀고 먼' 현대家 화해,현대중 상선 우선주 확대 무산시켜
  • 녹색경제
  • 승인 2011.03.25 2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그룹과 범현대가의 갈등의 골이 생각보다 깊다.

현대그룹이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 상대는 현대건설 인수로 비방을 주고 받으며 대치했던 현대차그룹만이 아니었다. 현대중공업그룹, 현대백화점 등도 현대그룹의 명백한 대척점에 서있었다.

◇현대重, 상선 우선주 확대안 부결

 
25일 서울 연지동 현대상선 본사 사옥에서 열린 제35기 현대상선 주주총회에서 경영권을 보유한 현대그룹과 상선 지분 23.8%를 보유해 주요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그룹이 주요안건을 두고 격돌했다.

이로써 현대상선 경영권에는 당장 관심이 없더라도 현대그룹의 현대상선 경영에는 힘을 실어주지 않겠다는 의도를 명확히 했다.

현대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이 첫 번째로 충돌한 안건은 이사보수 승인 안이었다. 현대상선은 해운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사보수 한도를 현행 8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과 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현재 경쟁 해운사들의 이사 한도액에 비교했을때 과도하다”며 즉각 반발했다. 이 안건은 결국 표결로 부쳐졌고 총 의결 주식수의 과반을 넘겨 통과됐다.

이날 최대 안건이었던 우선주 발행 한도를 늘리는 건은 예상대로 논쟁이 뜨거웠다. 현대상선은 선박 투자 등 자금 확보를 위해 우선주 발행한도를 현행 2000만주에서 8000만주로 늘리는 안건을 올렸다.

현대중공업 측은 “보통주 발행한도가 1억2000만주에 달해 3조원 가량을 조달할 수 있는데 우선주 발행한도를 확대하려는 의도를 모르겠다”면서 반대했다.

현대백화점 측도 “자산매각과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안다”면서 “더이상의 자금확대 안은 주주가치를 훼손한다”며 정관변경안에 반대했다.

현대상선 주총의 의장을 맡은 이석희 현대상선 대표이사 사장은 “올해는 선박 등 주요부분 투자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시기며, 투자를 위해서는 자본 조달이 필요하고, 자본 조달의 옵션으로 우선주 발행한도를 늘려놓는 것”이라면서 “우선주 발행으로 즉시에 투자할 자본을 확보하는 것이 결국 주주를 위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읍소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과 백화점은 반대의사를 유지했고 결국 이 안건도 투표에 부쳐졌다.

개표결과 64.95% 찬성, 반대·무효·기권이 35.05%로 찬성이 참석 의결 주식 3분의2를 확보하지 못해 부결됐다.

현대그룹 측은 이에 대해 “아직 현대자동차그룹으로부터 아무런 화해에 대한 제안을 전혀 받지 못한 상태에서 현대중공업그룹을 중심으로 한 범현대가가 현대상선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대해 이렇게 제동을 거는 것은 범현대가의 현대그룹 장악의도가 드러난 것”이라면서 분개했다.

이어 “이렇게 되면 현대상선도 선박투자 등 미래 성장에 대한 투자에 제동이 걸리게 되고 이는 결국 회사의 경쟁력을 약화시켜 그 피해는 일반 주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영권 분쟁 조짐?… “확대해석”

현대그룹은 중공업그룹의 상선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안 반대가 경영권에 대한 욕심을 버리지 못한 증거라면서 비난하고 있다. 상선 주식 50%+1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언제든 경영권 분쟁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공업의 우선주 확대 반대가 상선 경영권에 대한 의도, 나아가 경영권 분쟁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견해는 그리 많지 않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상선이 상환이나 보통주로 전환 가능해 의결권을 가질 수 있는 우선주 발행을 검토하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기존 주주의 의결권이 희석된다”면서 “중공업이 노리는 것은 경영권이 아니라 추가 투자 부담과 의결권 희석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미 현대그룹은 확보한 우호지분이 45%정도 가량 돼 범현대가의 상선지분 38%와 지분 차이가 커 경영권 분쟁은 어렵다”면서 “중공업이 경영권을 노렸다면 작년 유상증자에 참여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인수한 현대건설이 보유한 상선 지분 7.8%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아 우선주 확대 관련 분쟁을 피해갔다.

benoit0511@newsis.com

 

녹색경제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