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그룹, 채권단 압박에 요구안 일부 수용...PF로 불똥 확산될까 우려하던 은행들 '안도'
상태바
태영그룹, 채권단 압박에 요구안 일부 수용...PF로 불똥 확산될까 우려하던 은행들 '안도'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4.01.08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영그룹, 태영건설에 890억원 추가 지원하기로
티와이홀딩스 지분 역시 담보로 제공 예정
채권단 "태영의 자구계획 이행에 일부 진전 있어"
"워크아웃 하지 않으면 금융권으로 불똥 튈 가능성"
태영건설 로고

 

태영그룹이 금융당국과 은행 등 채권단의 추가 자구안 압박에 백기를 들었다. 태영 측이 기존 자구안을 이행함과 동시에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기로 하는 등 채권단의 추가 요구안 또한 수용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가능성에 파란 불이 켜졌다. 지금까지 은행권은 태영건설발 위기가 PF로 번져 부실대출 뇌관을 건드리진 않을까 노심초사한 모습이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존 자구안을 충실히 이행하고 여기에 추가적인 안 역시 제시하는 게 워크아웃의 핵심"이라며 "태영 측이 앞으로 이를 이행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그룹이 금융당국과 채권단에 추가로 자구안을 제시했다. 논란이 됐던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 1549억원 가운데 티와이홀딩스 채무 해소에 쓴 890억원을 채권단의 요구대로 태영건설에 직접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태영그룹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자금 태영건설 지원, 에코비트 매각 대금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제공 및 매각, 평택싸이로 지분(62.5%) 담보제공 등 4가지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659억원만 태영건설에 직접 지원하고 890억원은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의 태영건설 연대보증채무를 위해 사용하기로 해 논란이 인 바 있다.

여기에 더해 태영그룹은 윤세영 창업회장 등이 보유한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로써 오는 11일 열리는 채권단 협의회에서 태영건설에 대한 워크아웃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커졌다. 

지금까지 채권단의 추가 자구안 요구에도 태영그룹은 버티기로 일관했다. 그러나 7일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경영자는 자기의 뼈를 깎는 고통스러운 일을 해야 한다"며 압박하자 사실상 채권단에 백기투항을 했다. 

산업은행 본사.
산업은행 본사.

 

워크아웃을 진행하기 위한 태영그룹의 이행약속에 은행 등 채권단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산업은행 측은 "워크아웃 신청 당시 제출한 4가지 자구계획에 대해 이행 약속을 하는 등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은행권은 태영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갈까 노심초사했다는 후문이다. 워크아웃이 무산되면 50여 개의 협력업체 또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태영건설의 도산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를 가속해 건설업계 연쇄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이는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기준 태영건설이 국내 은행권에 끌어다 쓴 장·단기 차입금 규모는 7144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보면 산업은행이 PF대출과 장기차입금 명목으로 1292억원을 태영건설에 빌려줬다. 이어 KB국민은행이 1600억원(PF대출 1500억원, 단기차입금 100억원)을 내줬으며, 기업은행 997억원(PF대출), 우리은행 720억원(단기차입금), 신한은행 636억원(PF대출 436억원, 단기차입금 200억원), 하나은행 619억원(PF대출 169억원, 단기차입금 450억원) 순이다. 

게다가 은행권의 건설업 대출잔액과 연체액이 늘고 있어 PF의 부실화 위험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작년 11월 말 기준 건설업 대출 잔액은 23조2387억원으로 집계돼 2022년 말 20조3915억원 대비 2조8472억원 늘었다. 연체액 또한 같은 기간 1051억을 기록해 524억원 대비 527억원 증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태영건설 자체의 대출 규모는 크지 않아 사실 태영건설 건만으로는 큰 부담이 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태영건설 위기가 건설업권, 더 나아가 금융권으로 번져나갈 수 있는 만큼 이번에 워크아웃 가능성이 높아진 점은 다행"이라고 강조했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