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물가냐 경기냐…“금리 동결하고 매파적 발언”
상태바
한국은행, 물가냐 경기냐…“금리 동결하고 매파적 발언”
  • 김윤화 기자
  • 승인 2023.02.20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3일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물가 고개든 가운데 경기부진
美 긴축 장기화 흐름에 고심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출처=한국은행]<br>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출처=한국은행]

“수출이 꺾이는 모습이 지속됐고, 최근에는 소비마저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 하반기 일정 시점부터 경기 둔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기획재정부)”

오는 23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물가를 잡느냐, 경기를 부양하느냐’ 고심이 깊다.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긴축 장기화에 나서며 벌어진 금리격차도 변수다.

전문가들은 동결을 예측한다. 이 경우 1년 5개월간 지속되던 인상흐름이 멈추게 된다. 다만 금리인하 신호탄이 아닌 점을 강조하기 위해 매파적 발언을 쏟아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잠잠하던 물가가 다시 오르고 있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10월 이후 연속적으로 하락하던 흐름이 끊겼다. 전기·가스 수도 요금이 전년 대비 28.3% 상승하면서 물가를 끌어올린 탓이다.

에너지 및 농산품목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같은 달 전년 대비 5% 상승했다. 2009년 2월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다.

이 가운데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고 있다. 지난 4분기 우리나라는 마이너스 성장률(직전분기 대비·속보치 -0.4%)을 거뒀다.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 이후 10분기 만에 처음이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수출이 꺾이는 모습이 지속됐고, 최근에는 소비마저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작년 하반기 일정 시점부터 경기 둔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확인하는 메시지”라며 침체를 인정했다.

연간 경제성장률이 1%에도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일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에서 상반기 성장률을 기존 1.4%에서 1.1%로 하향 조정했다. 연 성장 전망치는 1.8%다.

이 같은 배경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해나가되 이제 서서히 경기 문제도 신경 써야 하는 상황으로 점점 가게 된다”며 성장을 고려한 통화정책 기조를 강조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출처=Fed]<br>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출처=Fed]

지난 회의에서 비둘기파적 메시지를 던진 미 연준이 최근 긴축 장기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른바 ‘노 랜딩(무착륙)’ 시나리오다. 1월 물가 증가폭이 위축된 가운데 예상치를 웃돈 고용지표가 발표된 배경이다.

당장 다음 달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 전망이 거론된다. 19일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는 한 달 전까지 2.5%이던 빅스텝 가능성을 15.1%로 내다보고 있다.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은 두 달여 만에 다시 1300원을 넘었다. 지난 17일 장중 1302.95원을 터치했다.

현재 한미 금리격차는 상단 기준 1.25%p로 22년 만에 최고치다. 만약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다음달 연준이 올릴 시 격차는 1.5%p까지 벌어지게 된다. 추가적인 원화약세를 부추길 수 있는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동결을 전망한다. 경기부진이 가시화된 가운데 시차를 두고 그간 누적된 금리인상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물가위험 등이 남아있는 만큼 섣부른 금리인하 기대를 경계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KB증권 강승건 연구원은 “이전 금통위보다 물가에 대한 경계감을 높이며 매파적 발언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발언까지 완화적으로 돌아선다면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등 물가에 대한 우려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유진투자증권 김지나 연구원은 “(금리) 결정과 별개로 기자간담회는 매파적일 전망”이라며 “미국의 최종 기준금리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매파적으로 발언하는 것이 시장의 추가 변동성을 높이지 않을 수 있고, 연준의 향후 행보에 따라 유동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밝혔다.

김윤화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