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업계, '금융 탄소배출량' 공개 러시 …한화이어 미래에셋,키움도 PCAF 가입
상태바
자산운용업계, '금융 탄소배출량' 공개 러시 …한화이어 미래에셋,키움도 PCAF 가입
  • 김윤화 기자
  • 승인 2022.11.25 15: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 내 금융 배출량 공시…ESG 데이터도 확보
[출처=Unsplash]

글로벌 탄소중립 흐름에 탄소회계금융연합(PCAF)에 가입하는 국내 자산운용사가 늘고 있다. 11월 기준 PCAF에 가입한 국내 자산운용사는 총 11곳이다. 이 중 지주사를 통한 게 아닌 개별적으로 동참한 곳도 점차 늘어 미래에셋, 키움투자, 한화자산운용 3곳이 공개하고 있다.

PCAF는 금융자산이 배출한 온실가스(금융 배출량) 산정 및 공시 방법론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제시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25일 기준 블랙록,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342개 금융기관(총 운용자산 85조 달러)이 참여하고 있다.

금융기관은 제조업과 달리 사업장에서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양이 적다. 문제가 되는 건 투자, 대출 등 금융 활동(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이다. 이를 국제적으로 스코프3 배출량(Scope3)으로 분류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스코프3 배출량 공시여부가 자율이지만 곧 국제적 의무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을 비롯해 G20(주요 20개국)이 지지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제작하고 있는 글로벌 통합 ESG 공시양식이 스코프3 배출량 포함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기준 PCAF에 단독으로 이름을 올린 국내 자산운용사. 아직 금융배출량을 공시한 곳은 없다. [출처=PCAF]

이러한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3월 PCAF에 가입했다. 회사는 2025년까지 투자자산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공시한다는 계획이다. 4월 가입한 키움투자자산운용도 마찬가지로 2025년 공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이들 자산운용사가 PCAF에 가입한 목적은 단순 공시를 넘어 ESG 평가체계 고도화에 있다. PCAF 방법론을 통해 자체 ESG 데이터 기반을 쌓는 게 첫째 목표다. 현재 국내 자산운용사는 외부 기관이 제공하는 데이터에 의존한 ESG 평가체제를 사용하고 있는 탓에 자체적인 투자전략을 마련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ESG전략본부장 이사는 "PCAF 가입은 자체적 ESG 평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준비단계"라며 "외부 데이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ESG 투자전략은 데이터 산출 과정에 대한 '블랙박스'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자체적 ESG 데이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만의 투자전략을 적용해 고유한 ESG 평가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PCAF의 역할이 커지면서 네덜란드, 영국, 일본 다음으로 우리나라에도 국가별 단위조직이 생긴다. PCAF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손잡고 국내 주요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하는 탄소회계금융연합-한국(PCAF-KOREA)을 24일 발족했다. 초대 의장사는 KB금융그룹이 맡는다.

[출처=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PCAF는 이번 발족을 통해 “금융 배출량 산정에 관한 PCAF의 방법론을 한국적 맥락에서 적용하고, 모범 사례를 공유하며, 데이터 품질 개선 작업, 추가 방법 개발 및 다른 PCAF 지역팀과의 국제 협력을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초대 의장사를 맡은 KB금융그룹 문혜숙 ESG본부 상무는 "PCAF-KOREA는 PCAF 글로벌과 함께 금융기관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장을 만들겠다"며 "민간주도 협의체로서 대한민국의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더 나아가 아시아 금융시장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파트너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PCAF 방법론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관련 보고서 및 가입신청서 등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양춘승 상임이사는 "금융기관의 넷제로 목표설정과 이에 따른 감축활동의 시작은 금융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에서 시작된다"며 "이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포함한 기후 관련 공시의 조속한 의무화가 필요하지만, 금융기관은 그전에라도 투자·대출·보험 등의 대상에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활동을 적극 전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윤화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