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석방에 화답? 5년간 50조 투자... 7만명 고용
상태바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석방에 화답? 5년간 50조 투자... 7만명 고용
  • 양현석 기자
  • 승인 2018.10.23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 성장 위한 대규모 투자... 삼성·SK 다음으로 많은 규모
23일 롯데그룹이 5년간 50조원 투자와 7만명 고용을 골자로 하는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롯데월드타워 본사로 출근하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롯데그룹이 신동빈 회장 집행유예 석방 이후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뤄왔던 미래 성장을 위한 중장기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롯데는 23일, 향후 5년 간 국내외 전 사업부문에 걸쳐 50조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는 최근 둔화됐던 경영활동을 빠르게 정상화하고 미래성장에 대비하기 위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국가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우선 첫해인 내년에는 약 12조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국내 유화사를 인수했던 2016년 투자금액인 11조2000억원을 넘어서는 수치로, 사상 최대 규모다. 유통 부문에서는 온라인 역량 강화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며, 화학 부문에서는 한국 및 인도네시아, 미국에서 에틸렌 등 대규모 설비 증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롯데는 그룹의 양 축인 유통부문과 화학부문을 중심으로, 2023년까지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데 지속 투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고객에게 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그룹 전반에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이뤄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해외에서는 인도네시아, 베트남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신시장 진출도 지속 추진한다.
 

우선 유통부문에서는 온라인 사업의 역량을 업계 1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AI 등 디지털 기술과 Big Data를 적극 활용해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특히 물류 시설 및 시스템 등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유통 인프라 구축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고객 편의성을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쇼핑몰 사업도 지속 추진해 나간다.

식품 부문에서도 트렌드 분석 및 신제품 개발을 더욱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AI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니즈를 감지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 개발에 앞장서나갈 예정이다. 더불어 국내외 설비 개선도 진행하여 사업 수익성 개선에 노력할 계획이다.

롯데의 화학부문은 국내 생산 거점인 여수, 울산, 대산 지역에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원가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해외에서도 대규모 설비 투자를 진행할 예정으로, 원료 지역 다변화를 이루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인수한 국내 유화사와 스페셜티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안전을 최우선가치로 둬 지속 성장 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

관광 및 서비스 부문에서는 국내외 사업을 지속 확대해 롯데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집중해나갈 계획이다. 해외 M&A 등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롯데는 채용 역시 향후 5년간 7만명을 고용하기로 결정했다. 2018년에는 대내외 여건이 악화돼 연말까지 1만2000명 채용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롯데는 2019년에는 경영정상화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의지가 강한 만큼, 올해보다 약 10% 증가한 1만3000명 이상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유통부문의 이-커먼스 분야에서 많은 채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매년 채용 규모를 차츰 늘려나가 2023년까지 7만명을 채용해, 국가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신동빈 회장 역시 복귀 후 첫 회의에서 “어려운 환경일수록 위축되지 말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 기업가치를 적극 제고해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재계에서는 롯데그룹의 미래 투자계획이 오래 공을 들인만큼 대규모로 나왔다는 반응이 주를 룬다. 특히 5년 50조원 투자 규모는 삼성의 3년 180조원, SK의 3년 80억원에 이은 재계 3위 수준으로 신동빈 회장의 '통큰경영'을 엿볼 수 있는 증거라는 평이다.  

양현석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