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BMW코리아 압수수색…화재 원인 EGR 기술자료 등 확보 주력
상태바
경찰, BMW코리아 압수수색…화재 원인 EGR 기술자료 등 확보 주력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08.30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MW 피해자 모임 등 고발에 강제 수사 착수...원인 규명이 핵심 열쇠

경찰이 BMW 연쇄 화재 리콜 사태와 관련 결함은폐 의혹을 수사하면서 BMW코리아에 대한 압수 수색에 들어갔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30일 오전 9시 30분께부터 수사관 30명을 투입해 서울 중구에 있는 BMW코리아 사무실을 압수수색 중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압수수색은 BMW피해자 모임 등에서 BMW코리아를 고발한 데 따라 강제 수사가 본격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압수수색은 이달 9일 불이 난 BMW 차 주인 이광덕 씨 등이 고소장을 낸 지21일 만에 이뤄졌다.

경찰은 압수수색에서 잇단 차량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관련 기술 문서와 내부 회의 자료 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경찰은 그간 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의 협조를 얻어 BMW 관련 문건을 확보해 검토 작업을 해왔으나 강제 수단을 동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MW코리아 회장이 지난 6일 기자회견에서 잇단 차량 화재에 대해 머리를 숙였다.

앞서 BMW는 지난 6일 독일 본사 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BMW 화재 원인 등에 대해 해명한 바 있다. BMW는 잇단 차량 화재에 대해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엔진 사고가 있어 최근까지 원인 규명을 위한 실험을 해왔으며 최근에야 EGR 결함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국토부 민관합동조사단은 BMW 차량의 연쇄 화재 때문에 비난 여론이 비등한 시점에 마침 BMW가 뒤늦게 원인 규명 실험을 끝냈다는 설명이 석연치 않다고 보고 '늑장 리콜' 여부는 물론 화재 원인에 대해 주행 테스트 등을 포함해 정밀 조사 중이다.

이에 이광덕 씨를 비롯한 'BMW 피해자 모임' 회원 41명은 2차례에 걸쳐 BMW코리아, BMW 독일 본사와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 하랄트 크뤼거 본사 회장 등 관계자 9명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이씨 등은 국토부의 조사에 강제성이 없어 BMW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증거를 은폐할 우려가 있다며 경찰의 강제 수사를 촉구해왔다.

한편, BMW에 대한 소송은 한국소비자협회를 비롯한 여러 단체를 통해 진행 중이며 3000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