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 않은 길' ESG 공시 "신속하되 신중하게" 최종안 의견수렴 4개월 과제는?
상태바
'가지 않은 길' ESG 공시 "신속하되 신중하게" 최종안 의견수렴 4개월 과제는?
  • 김진희 기자
  • 승인 2024.05.24 0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유럽 비즈니스 관계 국내 기업은 벌써 직·간접 영향권 "준비 서둘러야"
해외선 ESG 공시·ESG 인증 동시 의무화 추세
국내 ESG 인증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율 12%에 그쳐
ESG 전문 인력 자격 요건·독립성 보장 시스템 필요
[사진]
22일 '제10회 ESG 인증포럼'에서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이 KSSB 기준 제정 일정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공인회계사회KICPA 유튜브 채널 캡처]

[녹색경제신문 = 김진희 기자]

국내 ESG 공시 의무화의 초석이 될 공시 기준 최종안 확정을 위한 의견 수렴 기간이 4개월여 남은 가운데 국내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 의견 개진과 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대한 관심도 필수적이라는 전문가들의 권고가 잇따르고 있다. 미국과 유럽 다수 국가에서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이 속속 발표됨에 따라 국내 의무화도 조속히 이뤄져야 하겠지만 기업 부담, 전문인력 관리 감독 방안에 대한 세심한 논의 또한 필요하다는 진단도 나온다.

23일 한국회계기준원에 따르면 ESG 공시 기준 최종본은 이달부터 4개월 간 관계자들의 의견을 받고 9월부터 피드백 분석을 거쳐 추후 발표될 예정이다. 정확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전날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주관한 '제10회 ESG 인증포럼'에서 박준영 한국거래소 ESG지원팀장은 "KSSB는 글로벌 기준을 참고해 만든 것이라 진정한 국내 기준이 되려면 4개월의 의견 수렴 과정에서 국내 이해관계자 의견이 중요하다"며 업계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했다.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최종안 마련에 기업과 회계 전문가들의 적극적 의견 개진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날 토론에서 회계 전문가들은 최근 논의가 ESG 공시 기준과 의무화 시기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한 ESG 인증에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해외에서는 ESG 공시와 ESG 인증의 동시 의무화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공인회계사회가 유가증권과 코스닥 상장사 2500여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ESG 인증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기업은 상장사 중 12%였다. 2021년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아직 적은 수치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는 1690개 사 중 43개 사인 3%에 그쳐 저조한 발간율을 보였다.

이날 발표에 나선 황정환 삼정회계법인 파트너는 "미국이나 유럽 국가와 비즈니스 관계가 있는 국내 기업은 직·간접 영향에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ESG 인증은 ESG 공시 의무화와 동시 도입되는 추세로 국내 인증인의 자격요건이나 독립성에 대한 감독 체계 수립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국내 ESG 전문 인력 부족 문제는 이미 여러차례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300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들이 ESG 경영 추진에 대해 비용부담(58.3%)에 이어 내부 전문인력 부족(53%)을 두 번째 어려움으로 꼽았다.

인력풀 부족에 더해 이들을 관리 감독할 시스템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포럼 참가자들은 인증 의무화 시기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고 글로벌 사례가 적은 상황이기 때문에 해외 사례가 축적되는 대로 세심한 정책 디자인을 주문했다.

김진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