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고용 증대위해 고기술 분야로 산업구조 재편 시급하다
상태바
성장, 고용 증대위해 고기술 분야로 산업구조 재편 시급하다
  • 조원영
  • 승인 2016.05.29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술 산업에서 기업 성장, 고용 증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기술 분야로 산업구조 재편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기업성장률 제고와 혁신정책의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의 통계청 『기업활동조사보고서』상의 비금융 기업 50,253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고기술산업, 매출・고용성장성, R&D 비중 등 저기술산업에 월등히 앞서

고기술 분야로 분류되는 산업의 성장성이 저기술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술 수준 분류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기준에 따라 분류했다.

 지난 2007년부터 2013년 기간 중 저기술 산업의 매출성장률은 5.4%였으나, 같은 기간 고기술 산업은 8.1%의 성장세를 보였다. 고용 성장률 역시 고기술 산업이 약 0.9% 포인트 가량 높았다.

분석 기간 중 저기술 산업의 고용성장률은 2.9%였고, 고기술 산업은 3.8%였다. 또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의 경우 저기술 산업은 1.0%, 고기술산업은 2.4%로 고기술 산업이 약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기 한경연 미래성장동력실장은 “사실상 매출과 고용 증대를 고기술 산업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의미”라며, “경제효과 측면에서 산업구조가 고기술 산업으로 가야한다는 시사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고기술・저기술 산업의 성장성 등 현황 >

구 분

고용성장률

매출증가율

R&D 비율

무형자산비율

기업수

전산업

0.033

0.065

0.016

0.023

50,253

고기술

0.038

0.081

0.024

0.026

21,040

저기술

0.029

0.054

0.010

0.021

29,213

                                  기술수준 구분 기준 (OECD, 2011)

구 분

세부산업

고기술

첨단기술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정밀기기 제조업, 정보통신 및 방송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중위첨단기술

화학제품 제조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운송장비 제조업

저기술

중위저위기술

석탄 및 석유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1차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저위기술

농림어업, 광업,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목재, 종이, 인쇄 및 복제업, 기타 제조업, 전력, 가스 및 증기업,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음식점 및 숙박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공공행정 및 국방,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이병기 실장은 “고기술 산업으로 산업구조 개편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신성장동력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대상범위 확대와 공제율 인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성장동력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상 신성장동력으로 규정된 분야에 한해 연구개발비의 20%(중소기업 30%)를 세액공제 해주고 있다.

이 실장은 “이 같은 방식의 세액공제는 단기적으로 신성장 동력 기술 촉진 차원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포괄주의 방식(negative system)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괄주의 방식은 규정되지 않은 기술 모두를 신성장 동력으로 간주해 세제지원을 하는 방식이다.

한편 현행 세법은 과학기술분야의 경우 자체연구개발비와 위탁·공동연구비 모두 세액공제를 허용하고 있지만 지식서비스 분야는 자체연구개발비만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병기 실장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 정보서비스, 의료·보건 등 지식서비스업 분야의 경우 공동·위탁연구의 경제적 효과가 크다”며, 이들 산업에 대해서도 위탁·공동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기술분야와 동일한 R&D 세액공제 제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