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 OECD국가 중 ‘이직률 최고'...실직 후 '재취업율 최저 수준', 사회안전망 취약
상태바
한국 직장인, OECD국가 중 ‘이직률 최고'...실직 후 '재취업율 최저 수준', 사회안전망 취약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9.01.23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형수 의원 “실업급여 보완, 실업부조 도입 통해 다층적 사회안전망 필요”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남 양산을, 기획재정위원회)이 OECD(경제개발협력기구)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이직률이 가장 높고 근로자(1년이상 근속 기준)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 못 미쳐,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재취업을 위한 기간 중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 안전망이 절실하게 필요하지만, 실업자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실업급여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 따르면, OECD국가별 이직률은 한국이 3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용유연성이 높은 미국(19.7%), 호주(19.2%) 등보다 높고, OECD평균(16.9%)을 넘어선다.

또한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용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년 이내 재취업률은 50%미만(2003~2008년), 40%미만(2009~2010년) 수준으로 다른 OECD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고,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소득상실 우려가 큰 재취업 기간 중 소득보장을 위한 사회 안전망 확충이 요구된다.

서형수 의원

그러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서 산출하는 ‘유사 적용률’(pseudo-coverage rate, 실업자수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 비율)에 따르면, 한국은 2007년 30.6%에서 2014년 38.4%로 개선됐지만 OECD평균(58.6%)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평균 근로소득 대비 실업급여 수준을 측정하는 ‘순소득 대체율’(net replacement rate, NPR)은 2014년 기준 OECD국가 평균(28%)보다 낮은 10%(실직 후 5년 평균)를 나타냈고, 실직 후 1년 평균(31%)이나 초기 대체율(50%)도 OECD평균인 각각 53% 및 64%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실업급여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이다. 

이에 서 의원은 “OECD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이직률은 높은 반면 재취업 과정의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이 드러났다”고 평가하고, “실업급여 수준과 기간 등 제도적 보완과 함께 실업부조 도입을 통해 다층적 사회안전망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