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많은 강원도, 환경성 평가 최우수
상태바
국립공원 많은 강원도, 환경성 평가 최우수
  • 녹색경제
  • 승인 2011.03.15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원도는 15일 환경부가 국토환경성 평가지도를 활용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성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광역자치단체는 강원도, 울산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가 환경성평가 1등급지역이 행정구역 면적의 50%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충청북도,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가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40%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광주광역시, 경기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는 1등급 지역이 40%미만으로 평가되었다.

기초자치단체는 강원도 인제군⋅정선군⋅태백시⋅평창군⋅양양군⋅속초시와 경북 영덕군, 전남 구례군, 대전 동구, 경북 울릉군이 환경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전국 자차단체별 국토환경성은 법적인 보전지역과 멸종위기종 출현여부, 산림식생의 우수성, 생태축 등 환경생태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강원도는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행정구역 면적 대비 63.8%로 전국 최고일 뿐 아니라, 1등급 지역의 절대면적도 10,824.80㎢로 전국 최대로 나타났다.

또한 국립공원(881.43㎢), 도립공원(35.67㎢) 등 자연공원이 전국에서 가장 많고, 자연환경의 보고인 백두대간이 관통하는 지역으로 산지가 행정구역 면적의 80.47%로 녹지율 또한 전국 최고 수준이다.

특히, 생물 다양성도 풍부하여 식물 10종, 양서파충류 6종, 조류 29종, 곤충 5종, 포유류 12종 등 총 62종의 멸종위기종 Ⅰ·Ⅱ급 종이 서식하며, 식생보전 등급 1·2등급 지역이 많고 수령이 높은 자연림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자연환경 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울산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는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행정구역 면적 대비 각각 50.8%, 50.5%, 50.1%로 평가되었다.

이들 지역은 광역시를 둘러싸고 있는 개발제한구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종다양성, 생태축 연결성, 희귀성 등 환경생태 지표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초 자치단체의 경우 강원도 인제군이 가장 환경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행정구역 면적 대비 86.5%로 자연성, 종다양성, 생태축 연결성, 희귀성 등 환경생태 지표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다음으로 강원도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양양군, 속초시 순으로 환경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70%를 넘는 지역들로 백두대간과 국립공원이 자리잡고 있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산양, 수달, 삵, 담비 등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경북 영덕군은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70.4%로 공익용 보전산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식생보전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전남 구례군은 지리산국립공원이 포함된 지역으로서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70.0%로 종다양성과 식생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전 동구는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69.6%로 대청호 상수원보호구역과 개발제한구역 녹지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생태축 연결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경북 울릉군은 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 행정구역 면적의 69.6%로 자연환경보전지역, 생태계변화관찰지역 등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식생의 보전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국토를 친환경·계획적으로 보전·이용하기 위하여 환경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환경적 중요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표시한 지도이다.

국토의 친환경성 정도를 판단하는 평가기준은 법정 보호구역 등 57개 법제적 평가항목과 보호 생물종 서식현황 등 8개 환경생태적 평가항목 등 총 65개의 환경성 평가지표가 활용되었다.

국토환경평가 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구축되어 인터넷(http://egis.me.go.kr/egis, http://ecvam.kei.re.kr/moe)을 통해 제공되며 일반 국민들도 이를 통해 전국 국토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활용하면 국토의 공간적 시간적 환경변화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특히 개발사업의 사전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우택 기자

 

녹색경제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