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채권 리스크 관리 강화 움직임
상태바
은행권, 대출채권 리스크 관리 강화 움직임
  • 황동현 기자
  • 승인 2018.09.07 0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은행들이 하반기 대출채권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금감원이 지난 5일 공개한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총자산은 63.9조원으로 지난해 59.7조원 대비 4.2조원(7.0%) 증가했다. 

그중 총여신 연체율은 4.5%로 지난해 4.6% 대비 0.1%p 하락했다. 그런데, 총여신의 연체율 하락은 PF대출의 연체율 1.6%p급감에 따른 착시효과다.

내용을 들여다 보면 PF대출만 빼고 다른 영역의 연체들은 올해들어 모두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올 상반기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4.8%로 지난해 대비 0.4%p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가계신용대출 0.7%p, 주택담보대출0.3%p 상승했다.

저축은행 연체율 추이. 자료=금융감독원

최근 저축은행 업계는 전반적으로 영업규모가 확대되고 흑자시현이 지속되는 등 경영상황이 양호하나 대외적으로 최근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대내적으로 가계부채 증가 및 고용부진 등 불안요인이 잠재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분위기다.

시중은행들도 기업대출 연체율 증가로 사정은 마찬가지다.

최근 시중은행들의 연체율 상승에 가장 큰 원인은 기업대출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0.47%에서 올 3월 0.56%, 6월 0.73%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부진과 금리 인상기와 맞물리면서 부실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자료=금융감독원

특히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성동조선해양이 회생절차를 개시하면서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치솟았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올 1월 말 0.43%에서 3월 말 0.45%, 4월 말 1.78%까지 급등했다. 

이에 은행들은 상시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골몰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연말부터 연체고객의 금융거래 이력, 상환능력 등을 분석해 연체 차주의 회수가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 중장기 연체 기간별, 연체자 특성별로 여신관리 전문조직에서 관리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은행의 내외부 정보를 활용해 기업의 잠재부실요인을 조기에 파악하는 '기업 조기경보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앞으로 금리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연체율도 고공행진을 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연체율이 상승하면 충당금이 늘고 이는 결국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업종별 경기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사전관리에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럿듯 앞으로가 문제라는 게 은행권의 공통된 시각이다. 또한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중기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기준에 미달되는 기업에 대한 대출이 추후 부실의 후유증으로 돌아올 것도 염려하고 있다. 금리인상이나 경기둔화 등 중소기업에 대한 대내외 환경이 녹록치 않은 점도 우려를 키우는 배경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중 무역 갈등이나 원화강세, 최저임금 인상 등을 고려하면 중기대출 관리가 계속 잘 되리라는 보장은 없다"며 "부실징후를 미리 파악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동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