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자체, 취약계층 청소년에 생리용품 지원..."일부 아닌 보편 복지로 확대 검토해야"
상태바
기업·지자체, 취약계층 청소년에 생리용품 지원..."일부 아닌 보편 복지로 확대 검토해야"
  • 문슬예 기자
  • 승인 2024.03.06 14: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년 이후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이뤄져...기업·지자체, "확대되는 추세"
보편 복지 확대 필요성...여가부, "종합적 측면 고려해야"
유한킴벌리, "생리용품 발전 위해 소비자의 구매는 필수적"

지자체와 기업에서 생리용품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등 청소년의 생리와 관련한 건강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인식의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일각에서는 생리용품 지원이 보편적 복지로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해 여성가족부는 보편 복지로의 확대 전에 종합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반면, 유한킴벌리는 보편 복지가 생리용품의 발전에 미칠 영향 때문에 회의적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생리용품이 진열된 매대의 모습.[사진=문슬예 기자]
생리용품이 진열된 매대의 모습.[사진=문슬예 기자]

6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 부처, 지자체, 기업 등에서 청소년에 대한 생리용품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오비맥주는 지난 5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생리용품 브랜드 '산들산들'과 협업해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생리용품을 지원했다. 유한킴벌리는 지난달 13일 임희정 골프 선수와 함께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생리대 20만 패드를 기부했다. 

정부 부처와 지자체 또한 청소년을 위한 생리용품 구매비 지원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에서는 9~24세의 청소년 중 기초생활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에 생리용품 바우처를 지원한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10월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조례' 개정으로 기존에 11~18세의 청소년에게 지원하던 생리용품 지원 사업을 올해부터 도내 외국인 청소년에게까지 확대한다.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은 지난 2016년 가계 빈곤으로 인해 저소득층 청소년이 생리대를 구매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주목받기 시작한 뒤 사업의 규모나 대상이 확대돼 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생리용품 지원 정책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취약계층에게만 선별적으로 생리대를 지급하는 방식이 신청 시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고, 생리용품은 일부만 사용하는 사치품이 아니라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필요한 필수품이기에 보편적 복지로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가족부는 생리용품 지원 정책이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작됐지만 여러 여건을 고려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6일 <녹색경제신문>에 "청소년들 중 특히 취약계층 청소년은 경제적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 필수품인 생리용품을 국가에서 지원해 주고 있다"며 "성인의 경우 자립이 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더욱 열악한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는 청소년에게 지원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어 "전체 여성들에게 생리용품을 지원하는 정책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여러 종합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국가의 재정적인 면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16년부터 누적 1000만 패드 이상의 생리대 기부 캠페인을 이어오고 있는 '좋은느낌' 생산 기업 유한킴벌리는 지원 사업도 필요하지만 생리용품의 발전을 위해 보편 복지로의 확대에는 회의적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6일 <녹색경제신문>에 "생리 빈곤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기부 사업을 지속해오고 있다"며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의 지원도 필수적이지만, 제품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소비자가 제품을 직접 선택하고 구매하는 상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마다 생리용품에 대한 기호가 제각각이고, 제품은 그런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하며 발전해간다"며 "따라서 생리용품은 소비자의 선택에서 비롯되는 혁신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함께 가야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21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리용품 지원이 법제화되는 등 생리용품 보편 지원에 대한 논의가 전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생리용품 보편 지원에 대한 인식이 과거에 비해 많이 개선됐으나 아직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생리와 관련한 위생문제가 국제적으로 공공보건과 인권의 문제로 인식되는 추세인 가운데, 국내의 인식 전환은 어떻게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문슬예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