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기업대출 연체율 동반 상승...2030 청년 연체율은 작년 대비 2배 늘어 '비상'
상태바
은행권 가계대출·기업대출 연체율 동반 상승...2030 청년 연체율은 작년 대비 2배 늘어 '비상'
  • 강기훈 기자
  • 승인 2023.09.21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0.39% 기록
가계대출 연체율 0.36%를 기록해 0.03%p 상승
기업대출 연체율 역시 0.41%로 0.04%p 올라
2030 청년 신용대출 연체율은 작년 대비 2배나 올라
[자료= 금융감독원]

 

잠시 주춤했던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모두 상승한 모습이다. 

특히 2030 청년세대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작년보다 2배 뛰면서 청년 가계 부채에 경고등이 들어오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걱정할 만한 정도는 아니다"라며 "다만 최근 유가 상승, 경기침체 등 글로벌 여건이 악화되고 있어 당국과 은행권은 하반기 은행 건전성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꺾였던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다시 오르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7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6월 말 0.35% 대비 0.04%포인트(p) 상승했다. 1년 전 0.23%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0.16%p나 오른 수치다. 

연체율이 오른 이유는 저금리 시기 때 대출 잔액이 급증한 가운데 최근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연체금액이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부실채권 매각 규모에 비해 신규연체 발생액이 더 큰 것도 연체율 상승을 견인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7월 중 발생한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6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7월 부실채권 정리규모가 1조 1000억원에 그쳐 전월 3조 1000억 대비 2조 가량 감소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다. 7월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로 나타나 전월 말 0.33% 대비 0.03%p 증가했다. 

가계대출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연체율(7월 말 기준)은 0.36%로 6월 말 0.33% 대비 0.03%p 올랐다.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71%로 전월 말 0.62% 대비 0.09%p나 올랐다. 

기업대출 부문에선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다. 7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월 말 0.37% 대비 0.04%p 증가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2%로 6월 0.11%보다 0.01% 소폭 올랐으며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49%로 나타나 전월 0.43%보다 0.06%p나 늘었다.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주요 5대 시중은행.[사진=각사]

 

가장 가파르게 대출 연체율이 늘어난 곳은 바로 청년세대의 신용대출이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공개한 '19개 국내은행 연령대별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 의하면 6월 말 기준 20대 청년층의 연체율은 1.4%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0.7%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2배가 증가한 것이다.

30대 역시 7월 말 기준 0.6%로 작년 같은 기간 0.3%에 비해 2배 상승했다. 40대와 50대는 모두 0.5%로 같은 기간 0.3%보다 0.2%p 상승했다. 60대 이상의 연체율은 0.8%로 같은 기간 0.5%와 비교하면 0.3%p 올랐다. 

청년 연체율이 급증한 것에 대해 홍 의원은 "저금리, 양적완화, 자산가치상승 황금기의 '이지머니'가 2030 세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변화시켰다"며 "불안정한 소득 기반에 고금리, 고물가까지 맞물려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청년층의 경우 모은 돈이 부족해 비상금대출이나 신용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아 최근 고금리 시기 연체액이 어느 정도 늘었다"며 "시중은행은 지속적으로 부실채권을 상각 혹은 매각하고 있어 건전성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강기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