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선도기업 4차산업혁명 수준, 선진국과 4년 격차... 디자인 및 브랜드 낙후
상태바
국내 선도기업 4차산업혁명 수준, 선진국과 4년 격차... 디자인 및 브랜드 낙후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05.24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T업계는 1~2년, 신산업과 소재산업은 최대 6년까지 벌어져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수준이 미국과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을 따라잡으려면 약 4년이 걸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산업연구원은 24일 발표한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 보고서에서 선진국 기업과 비교한 국내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을 81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선진 기업을 100점으로 가정해 국내 기업의 상대적 대응 수준을 평가한 것으로 선진 기업과의 격차가 1년일 경우 5점으로 환산했다.

분야별로 보면 제조·공정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이 90점을 받아 격차가 2년에 불과했지만, 디자인(73점)과 브랜드 구축(75점) 등 분야에서는 5년 이상으로 벌어졌다.

산업군별로 보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IT(정보기술) 제품·IT 부품에서는 격차가 없거나 1~2년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산업과 소재 산업군에서는 격차가 최대 6년이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은 선진국 대비 약 4년의 격차가 있으며,가치사슬별로 살펴보면 제조·공정이 가장 대응 수준이 높지만 여전히 선진기업에 비해서는 2년 정도 뒤처진 것으로 평가된다"며 "제조·공정이 다른 분야에 비해 격차가
작은 것은 4차 산업혁명의 담론이 본격화하기 이전부터 제조 분야에서 ICT기술이 활발하게 적용된 결과이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공정 자동화가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반면 개별 공정 간 혹은 가치사슬 내 연결성과 방대한 공정 데이터를 수집, 분석, 조정, 제어하는 지능성, 그리고 이를 통합하는 플랫폼 완성도 측면에서 선진기업과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원료조달(소재), 연구개발, 디자인 등 제조 전 단계 가치사슬 영역과 물류, 마케팅 등 제조 후 단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우리의 대응이 미흡했다. 이는 수직화된 산업 간 분업체계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제조 서비스업의 자생력과 경쟁력이 뒤처진 산업구조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는게 산업연구원측의 분석이다. 또 수평적 협업관계의 확산과 제조기업의 외부역량 활용, 그리고 연계융합 및 네트워크화에 대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정 연구위원은 "산업군별로 살펴보면 우리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선도하는 산업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수준이 높은 반면, 신산업과 소재산업 등의 분야에서는 대응 수준이 상당히 뒤처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수요산업의 특성 변화에 따라 소재개발 및 기획,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소재산업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소비재산업의 경우 선진기업에 비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 90%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글로벌 기업에 비해 우리 기업의 규모가 작고, 경쟁력 열위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