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올해 부실징후기업 185개사 다시 증가세..."자금시장 경색 부작용"
상태바
금감원, 올해 부실징후기업 185개사 다시 증가세..."자금시장 경색 부작용"
  • 나희재 기자
  • 승인 2022.12.19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금리·고물가 탓, 중소기업 경영악화 심화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듯
평가결과에 따른 맞춤형 기업 지원 실시예정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금감원)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펜데믹 기간동안 부실징후기업 수가 감소했으나 금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기업 중심으로 자금시장경색과 신용스프레드 상승에 따른 파급효과가 일반기업들 대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면서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부담이 높아질 수 있어 당국의 취약 차주의 이자부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9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해보면 금감원은 ‘2022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서 채권은행이 올해 신용위험을평가한 결과 185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C등급은 84개사, D등급은 101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5개사, 20개사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2개사,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 183개사로 대기업은 전년 대비 1개사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은 26개사 증가했다.

정기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다. C등급은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으로 회생절차 대상이 된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 증가 주요원인으로 한계기업 증가 및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데 기인했다고 밝혔다. 

업종별 현황으로는 기계장비업이 20개사(10.8%)로 가장 많았고, 금속가공사 16개사(8.6%) 및 부동산 15개사(8.1%), 도매·상품중개 13개사(7%) 순으로 나타났다. 

부실징후기업의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1조5000억원 수준으로 크지 않아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367억원으로 추정되며 BIS비율 변화 폭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평가결과에 따른 맞춤형 기업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워크아웃 신청기업(C등급)에 대해서는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예정”이며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기업(B등급)에 대해서는 채권은행 자체 경영개선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유관기관(산업부·중기부·캠코)과의 연계를 통한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지원 외에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에 가동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또 금감원은 기업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신용위험평가 실효성 제고 및 제도 개선도 병행할 방침이다.

나희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