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으로 3차원 현미경 영상, 고화질로 복원한다" ...KAIST "고화질 영상기술로 치매 우울증 치료 진전 기대"
상태바
"인공지능으로 3차원 현미경 영상, 고화질로 복원한다" ...KAIST "고화질 영상기술로 치매 우울증 치료 진전 기대"
  • 한익재 기자
  • 승인 2022.06.29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는 각도마다 화질 차이가 생기는 3차원 형광     현미경의 오랜 문제인 이방성 문제에 인공지능 기술 적용하여 해결 
별도의 준비 과정 없이 형광 현미경 3차원 영상 하나만 있어도 고화질로 복원 가능 
화질 향상을 통해 뇌의 신경세포들간 연결망을 분석하여 뇌지도 만드는 연구에 적용가능

아울러 작성된 세포 단위의 정밀한 뇌지도를 통해 치매, 우울증 등 정신 질환 치료 방법    기술 개발 기대

KAIST가 새로운 인공지능을 활용해 기존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한 형광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3차원 화상이 크게 향상돼 뇌지도 만드는 연구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치매 우울증 등 정신질환 치료가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모으고 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김재철 AI 대학원 예종철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 장성호 교수팀, 포스텍 김기현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형광 현미경의 오랜 문제인 이방성(Anisotropy)을 해결해, 3차원 영상 화질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방성 문제란 형광 현미경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데 있어 빛의 성질로 인해 영상 공간 방향 간에 적게는 2~3배, 많게는 10배까지도 화질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뜻한다. 예를 들면 3차원 영상을 보는 각도마다 화질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수학적 기법인 최적 수송이론 기반을 둔 새로운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공초점 현미경과 광 시트 현미경에 적용했다. 기존 인공지능 기법들과는 다르게,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가 따로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3차원 영상만으로도 인공지능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 볼 수 있으며, 생물학 연구자들에게 생물 표본의 3차원 고화질 영상 획득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공초점 형광 현미경 영상의 3차원 고화질 복원.
공초점 형광 현미경 영상의 3차원 고화질 복원.

 

예종철 교수는 "3차원 영상 획득에 있어 극복하기 어려웠던 현미경의 물리적 한계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비지도 학습 기반으로 훈련이 진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많은 종류의 3차원 영상 촬영 기법에도 확장 적용 가능하며, 또한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응용을 개척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ˮ 고 말했다.

KAIST 김재철 AI 대학원의 예종철 교수가 주도하고, 박형준 연구원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6월 8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KAIST가 AI를 활용해 3차원 현미경기술을 한단계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KAIST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박형준 연구원.
KAIST가 AI를 활용해 3차원 현미경기술을 한단계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KAIST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박형준 연구원.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