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2금융권 대출 6개월 새 20% 급증···고금리 악순환 우려에 당국 대책 마련 시급
상태바
20대 2금융권 대출 6개월 새 20% 급증···고금리 악순환 우려에 당국 대책 마련 시급
  • 김지우 기자
  • 승인 2020.11.01 2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햇살론유스·취업성공대출·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 등 활용

20대 청년층의 저축은행 마이너스 통장 대출 잔액이 6개월 새 2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되고 있다. 비교적 저렴한 햇살론이나 한국장학재단의 생활비 대출 등이 고려되지만, 고금리 대출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국회 정무위 소속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20대의 금융권 마이너스 상품 대출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2조1451억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말 1조9734억원 수준에서 2019년말 2조원을 돌파한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다.

이중 은행권 마이너스 통장 대출 잔액은 2조763억원 수준이다. 연말과 비교하면 608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저축은행 대출 잔액은 620억원으로 같은 기간 20.2%(104억원) 급증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제1금융권에서의 대출이 어려워 차선책으로 고금리의 대부은행을 선택해 빚에 허덕이는 청년들의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제1금융권보다 대출 문턱이 낮은 MG새마을금고,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선택할 경우 대출금리는 연 10%대가 훌쩍 넘는다. 그보다도 심사조건이 느슨한 대부업체를 통한 대출금리는 무려 연 24%에 달한다.

이처럼 급한 사정에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서 대출을 이용하지만, 고금리로 인해 젊은 시절부터 빚의 수렁에빠질 위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정책금융지원의 일환으로 지난 1월 만 34세 이하의 대학(원)생·미취업청년·사회초년생 등에게 저금리로 생계자금 등을 지원하는 햇살론유스(youth) 를 출시했다.

햇살론유스는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정규 소득이 없어도 단기 근로 등으로 최소한의 상환 능력 입증 시 대출이 가능하다. 일반 생활자금의 경우 반기당 최대 300만 원, 학비·의료비 등 용도를 증빙하면 연간 최대 600만 원을 대출 받을 수 있다. 1인당 1200만원 한도 내로 추가 이용도 가능하다.

금리는 사회적 배려 대상 청년층은 3.6%, 대학생이나 미취업 청년은 4.0%, 사회 초년생은 4.5%로 적용된다. 대출금은 최장 15년간 분할 상환할 수 있고, 대학생은 6년, 미취업 청년은 2년, 사회초년생은 1년까지 상환을 유예할 수 있다.

또한 올해 햇살론유스 지원 규모를 2000억원으로 확대해 연말까지 특례보증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다만 특례보증 이용은 1회에 한정되며 한도 금액은 500만원이다. 신청기한은 오는 12월 31일까지다.

또한 취업성공패키지·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취업성공대출도 한도 300만원을 3년 이내로 4.5%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의 생활비대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대출 한도는 햇살론 유스보다 적지만 기존의 청년 대상 대출 중에는 이자율이 가장 낮다.

현재 한국장학재단은 올 2학기 기준 변동금리 1.85%를 적용하고 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학자금 지원 4구간 이하인 경우 의무상환 개시 전 생활비대출 무이자에 해당한다.

이는 만 35세 이하를 대상으로 하며, 대출 한도는 학기당 150만원으로 학기당 한도 내에서 회당 10만원 이상으로 소액 대출도 가능하다. 다만 이전 학기까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잔액을 보유한 상태에서 의무상환 이력이 있으면 이자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신용회복위원회는 금융채무를 3개월 이상 연체한 대학생 및 미취업청년(만 34세)을 대상으로 미취업시 상환 유예기간 5년으로 채무조정특례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 대출은 신용회복위 채무조정이 불가하다.

한편, 전문가들은 청년 대출 자체에 대해 비교적 금리가 낮은 대출이긴 하지만 대출이 정말 시급한 상황에만 선택할 것을 권고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청년들의 대출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취업난 속에서 점점 힘들어지는 가운데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청년 부채를 경감하기 위한 지원사업을 강화하는 등 보다 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지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