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파연구원·농업기술실용화재단, 스마트팜 스마트 축사 측정·안전센서 등 19종 국가표준 제정 추진
상태바
국립전파연구원·농업기술실용화재단, 스마트팜 스마트 축사 측정·안전센서 등 19종 국가표준 제정 추진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9.09.1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김정렬)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센서 19종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가표준안 3건을 제정하기 위해 행정예고를 한다.’라고 밝혔다.

이 표준들은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센서 중 외기(外氣)‧내기(內氣)환경 측정 센서와 농업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안전센서의 측정범위와 결선(結線) 및 배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 축사 표준 19종
스마트 축사 표준 19종

이러한 국가표준이 제정되어 표준 규격에 맞게 제품을 제작하면, 고장이나 장애 발생 시 특정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에서 규격에 맞는 제품을 손쉽게 구매하여 빠른 시일 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시설 유지보수와 운영비용이 절감된다.

나아가 스마트 축사의 보급이 촉진되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농·축산업 분야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우일 우일목장(충남 보령시) 대표는 목걸이 형태의 센서인 발정탐지기를 젖소마다 부착해 젖소의 건강 상태와 가임기 여부 등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시 확인하고 있다. 이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시스템을 통해 젖소의 번식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사진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현재 국내 축산 농가는 정부의 스마트팜 지원사업 추진으로 스마트 축사의 도입이 점차 증가 추시대. 스마트 축사는 2014년 23호에서 2018년에는 1,425호로 급증했다.

스마트팜 기자재의 국내 제품 개발이 아직 부족하고 표준화되지 않은 부품 및 기자재를 도입함에 따라 ▲ 시설유지 및 관리상의 애로 ▲ 시설확장 및 운영비용 증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국립전파연구원의 스마트팜 표준 제정은 그 일환이다.

이번 표준들은 농업정책‧연구‧실용화‧표준제정을 담당하는 많은 기관들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표준화 정책수립·기자재 공통규격을 설정했고 ▲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스마트팜ICT융합표준화포럼은 산‧학‧민‧관 의견 수렴과 국가표준안 초안을 마련했으며 ▲ 국립전파연구원은 국가표준안 기술심의 등 절차를 통해 국가표준을 제정할 예정이다.

 우유를 생산하는 착유소 70마리의 활동량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하고 있다. 소에 부착된 목걸이 형태의 발정탐지기가 활동량 정보를 전송해 발정기를 체크한다.

국립전파연구원의 이번 스마트 축사 관련 표준 제정에 대한 행정예고는 2018년 7월, 스마트팜 전문위원회 신설, ITU-T SG13(미래네트워크)에서의 국제표준화활동, 2018년 12월, 국립농업과학원과의 스마트팜 기술분야 국가·국제표준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등을 거쳐 이루어진 것이다.

이번 행정예고에 의견이 있는 기관, 단체 또는 개인은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 전자공청회란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예정 예고 기간은 10월 17일까지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총 5,750곳의 스마트축사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전국 3곳에 ICT 기술을 토대로 공동 방역 및 분뇨처리가 가능한 ‘스마트축산 시범단지’도 조성하기로 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