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를 줄입시다
상태바
'음식물 쓰레기'를 줄입시다
  • 조원영
  • 승인 2015.01.28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용운    환경인

 
정부나 각 지방자치단체가 음식물쓰레기 처리 때문에 골머리를 썩히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음식물쓰레기 발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20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여기에는 한해동안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공공 또는 민간 처리비용 8,000억원을 포함해 식량 낭비, 가정 내 음식물 처리기 설치 등이 포함된 금액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하루 1만2,663톤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2010년 1만 3,671톤/일, 2011년 1만 3,537톤/일, 2012년 1만 3,209톤/일에 비해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여전히 많은 양을 부인할 수 없다.

이는 우리 사회가 음식물쓰레기를 다량 배출하는 원인은 독특한 식문화 탓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실시한 음식문화 여론조사(1,000명 조사)를 보면 음식물쓰레기 발생요인 가운데 ‘푸짐한 상차림 등 음식문화 특성’(32.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손님 접대 등에 음식이 모자라면 큰 실례라고 생각하는 전통이 아직도 우리 실생활에 자리잡고 있는 증거다.

음식쓰레기는 넘쳐나면 가정 내에서나 처리과정에 불편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여름철, 지독한 악취는 불편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음식물 파쇄기, 음식물 발효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가정경제의 부담도 커지는 형국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수거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고 있으며 사료, 퇴비 등 부산물은 수요처가 마땅치 않아 또 다른 고민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의 음식 문화를 바꿔 음식 쓰레기량을 줄이는 방법만이 해법이다.

여론조사에서도 우리 국민들이 음식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에 동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할 의향이 있음을 명백히 확인된 바 있다.

물론 현재 143개 시군구 자치단체에서 음식물종량제가 자발적으로 시행중이다. 국민들이 공감하는 만큼 쓰레기 종량제처럼 음식물 종량제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때가 됐다는 것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우리 속담이 있다. 정부가 앞장서고 국민들이 동참하는 형식으로 우리의 음식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더불어 음식쓰레기 해결에는 원인자인 국민들의 협조가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에서 홍보에도 배전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점도 지적하고 싶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