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배터리 3사 "'구미형 일자리' 사업자, 아직 정해진 것 없어"...LG화학 유력설, 정권 의지?
상태바
구미시·배터리 3사 "'구미형 일자리' 사업자, 아직 정해진 것 없어"...LG화학 유력설, 정권 의지?
  • 양도웅 기자
  • 승인 2019.05.20 2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업자 선정 놓고 하루종일 시끌... 'LG화학 유력' 보도 잇따라
LG화학, "정해진 건 없다"... 정부·여당은 LG화학 참여하길 원해(?)
구미 공단 전경. 경북 구미시가 제2광주형 일자리 사업지로 선정됐다. 사업 분야는 전기차 배터리로 우선 선정된 가운데, 20일 온종일 사업자가 누구냐를 놓고 여러 보도가 잇따랐다. 그 가운데 LG화학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많았지만, LG화학을 비롯한 배터리 3사 관계자 및 구미시 관계자 모두 "아직 정해진 바는 없다"고 말했다. <출처=구미시>

제2광주형 일자리(구미형 일자리) 사업자가 누가 될 것인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국내 전기차 배터리 3사인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관계자 모두 "아직 정해진 건 없다"고 말했다. 

20일 오후 녹색경제신문과 통화에서 배터리 3사 관계자 모두 이같이 밝히며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날 오후 통화한 구미시 관계자도 "정부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순조롭게 진행 중이지만, 사업자가 정해진 건 아니다"라며 "여러 언론사에서 정말 많이 전화가 오는데, 계속 같은 답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1순위 추진 사업 분야가 '전기차 배터리'이지만, 그것도 참여하겠다는 기업이 있어야 가능한 얘기"라며 "현재 여러 기업들과 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최근 언론에서 LG화학이 '구미형 일자리' 사업자로 오르내렸지만, 배터리업계와 구미시 모두 아니라고 입을 모은 셈이다. 

또, 참여 기업이 없을 경우, 추진 사업 분야가 전기차 배터리에서 다른 분야로 바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구미형 일자리' 당사자인 구미시 관계자는 잘못된 보도로 순조롭게 진행 중인 사업에 차질이 빚어질까 노심초사하는 눈치였다. 특히 사업자가 아직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은 상태서 LG화학이 유력 혹은 확정됐다는 보도가 잇따라 우려하는 눈치였다. 일각에서는 4대 그룹 가운데 아직 국내 투자 계획을 밝히지 않은 LG그룹이 이번 정부 주도 사업에 참여해줄 것을 정부와 여당이 원하기 때문에 이런 보도가 잇따르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LG화학과 구미시 부인하는데도 'LG화학 유력설' 흘러나와... 정부·여당은 LG화학 원해?

LG화학을 포함해 국내 배터리 3사와 '구미형 일자리' 당사자인 구미시가 사업자 선정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못박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LG화학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구미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증축'한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데, 구미에는 배터리 공장이 없다"며 "정해진 건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현재 LG화학 전기차배터리 공장은 충북 오창에 있다. 구미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의 공장이 있다. 

다른 배터리업체인 삼성SDI는 소형배터리 공장은 충남 천안, 전기차 배터리 공장은 울산에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충남 서산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여당이 4대 그룹 가운데 구미에 생산기지가 있는 LG그룹이 이번에 정부 주도 사업에 참여해 투자 계획을 밝혀줄 것을 바라고 있어 이같은 보도가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분석한다.

최근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에 133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고, SK하이닉스는 용인 반도체 공장 신설을 위해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또, 현대차는 이미 광주형 일자리에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정부·여당이 이번 사업부지로 구미를 선정한 이유로, 내년 총선을 고려해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 부지 선정 과정서 용인에 밀린 구미시민들의 표를 이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구미형 일자리'에서는 '광주형 일자리'에서와 달리 임금 삭감이 이뤄지지 않을 예정이라 해당 기업의 노조(직원) 반대도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미형 일자리는 광주형 일자리와 마찬가지로 노사민정(노조·기업·민간·정부)이 함께 일자리를 만드는 모델이다. 

특히 고임금으로 해외로 생산시설을 옮기려는 기업의 임금 부담을 정부와 지자체가 각종 지원을 통해 덜어주고, 노동자가 적은 임금으로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돕는 형태다.  

양도웅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