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제조사 15% “최근 1년새 지적재산 도둑맞았다”
상태바
상장 제조사 15% “최근 1년새 지적재산 도둑맞았다”
  • 김환배
  • 승인 2012.12.06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상장 제조사의 15%가 최근 1년새 지식재산을 도둑맞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300개 상장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지식재산 유출피해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핵심기술유출, 특허 침해, 디자인 도용 등의 피해를 겪었다’는 기업이 전체의 14.7%에 달했다고 6일 밝혔다.

주요 피해유형으로는 ‘산업스파이에 의한 기술유출’이라는 답변이 51.0%로 가장 많았고, ‘기술특허 침해’나 ‘상표·디자인 도용’라는 응답은 각각 26.0%, 23.0%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23.8%), ‘정보통신’(23.3%), ‘음식료’(20.0%) 업종이 다섯 군데 중 한 군데 이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철강’(16.7%), ‘섬유·의복’(16.7%), ‘조선’(14.3%), ‘기계’(12.2%), ‘유화’(6.8%) 등의 순이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17.4%)의 피해가 중소기업(13.5%)보다 다소 많았다.

국내 기업들은 기술유출이나 지재권침해를 당해도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재산 침해시 대응방안을 묻는 질문에 ‘소송이나 분쟁조정 등 법적 절차로 강력 대응한다’는 응답은 25.0%에 그친 반면, ‘특별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거나 상대회사에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이라는 답변은 75.0%나 됐다.

기업들이 적극적인 대응을 못하는 이유로는 ‘소송 등의 절차를 거쳐도 실효성 있는 손해배상을 받기 힘들어서’(44.4%),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도 많이 들어서’(22.2%) 등이 꼽혔다.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들은 ‘지적재산침해에 대한 예방장치 강화’(31.5%), ‘피해 예방·대응 관련 컨설팅 강화’(31.1%), ‘분쟁해결제도 개선’(25.6%), ‘관련처벌 강화’(11.2%) 등을 차례로 꼽았다.

특허권, 소유권, 저작권 등에 대한 사용료인 로열티 지급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로열티를 지불한 적이 있다’(11.7%)는 기업은 ‘로열티를 받아본 적이 있다’(4.3%)는 기업보다 3배 가량 많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2년 상반기 국내기업이 외국에 지급한 로열티 총액은 43억800만 달러인 반면 로열티로 벌어들인 금액은 20억5300만 달러로 22억5500만 달러의 적자가 발생했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국내기업들의 기술력과 세계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산업스파이나 특허괴물을 통한 해외 경쟁기업들의 견제가 날로 거세지고 있다”며 “기업차원에서의 지식재산 관리전략과 대응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지만, 업계의 공동대응과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대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환배  g_eco@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