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C 총회 주요 결의안 내용
상태바
WCC 총회 주요 결의안 내용
  • 편집부
  • 승인 2012.09.16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황사 피해 저감을 위한 국제 협력
International Cooperation towards the Mitigation of Adverse Impacts of Aeolian Aerosol

1. 중국 북부, 중앙 아시아, 몽골의 건조 또는 반건조 지역에서 급속한 사막화와 과도한 방목 등으로 인하여 황사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산업화로 인한 인위적 에어로솔의 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

2. 황사 및 에어로솔은 발원지 뿐만 아니라 풍하측에서도 환경, 생태계, 건강, 사회 경제적 활동 등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침.

3. 황사 및 에어로솔은 대기 오염, 시정 감소, 복사 강제력 변화로 인한 기후 변화에 악영향을 미침.

4. Aeolian aerosol이 유년기 식물 생장 저하, 소 질식, 생물체 생산성 저하, 부영양화 촉진, 산호초 폐사 등 육상 및 해양 생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상기해야 함.

5. 호흡기질환 (천식) 및 안구질환 등 인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bacteria, fungi 같은 잠재적 병원성 미생물과 풍토병 발생 미생물이 source 지역으로부터 Aeolian aerosol을 타고 원거리 이동하고 있는 것을 상기해야 함.

6. Source 지역에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주요 원인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생태계 및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aerosol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통합 Monitoring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심각한 aerosol이 발생하였을 시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원거리 이동 Aeolian aerosol 내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정확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임을 인식해야 함.

7. 사막화의 원인은 지역 별로 다르며, 이에 대한 대응은 무분별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 활동이 소수 있어 왔으나,

8.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에서는 황사 및 에어로솔을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기경보시스템 (Sand and Dust Storm Warning, Advisory and Assessment System)을 구축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 필수적인 통합 황사 및 에어로솔 관측망이 아직 없는 상태임.

9. 현재 Aeolian aerosol 분야에서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위한 분석 방법 및 미생물 정보 등이 부족한 상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THE IUCN WORLD CONSERVATION CONGRESS at its 5th session in Jeju, Republic of Korea, 6-15 September 2012:

1. CALLS ON IUCN’s members to:
(a) Dust and sand storm (DSS)으로 인한 사막화와 토양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Aeolian aerosol 피해 국가 및 인접 국가들간에 통합 Monitoring 시스템 구축하고 정확한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국제적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라.
(b) 고품질의 황사 및 에어로솔 관측 자료를 실시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기상, 대기질, 보건, 자연재해 관련 국내 또는 국제 기관과 협력하라. 특히, UNCCD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와 WMO SDS-WAS (Sand and Dust Storm Warning Advisory and Assessment System)와 협력하라.

2. REQUESTS the Director General and Council to:
(a) Aeolian aerosol의 통합 Monitroing 시스템 구축 및 정확한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위해 관련 지역 및 국가들에서 action programmes 을 채택하고 이행 하도록 Working group 을 조직해라.
(b) 사막화를 방지하고 Aeolian aerosol 전문가들이 Working group 에 참여하여 활동하도록 정부에 촉구해라.
(c) World Bank Group, Global Environment Facility와 같은 국제 기금으로 하여금 Working Group의 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라.

3. ENCOURAGEs the governments to:
(a) Aeolian aerosol을 Monitoring하고 생태계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라.
(b) 사막화 방지 및 Aeolian aerosol의 Monitoring 시스템 구축, Aeolian aerosol이 생태계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국제적, 지역적, 관련지역 등에서 채택한 action programms을 재정적으로 지원해라.
(c) Aeolian aerosol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국제적, 지역적 관련 기관들의 긴밀한 협조 체계를 발전시키고 지원해라 .

󰊲 황해의 보전 및 지속가능성의 증진
Improving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Yellow Sea

다른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은 지역해인 황해는 아시아 계절풍 지역에 위치하여 매년 대량의 유입 퇴적물과 많은 양의 담수유입이 있는 지역이며,

황해에 접해있는 한국과 중국 양국의 도시들은 급격히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도시들에 거주하는 인구들의 기본적인 그리고 경제적인 요구들은 황해 생태계에 큰 영항을 미친다.

동아시아 갯벌들이 지닌 국제적 중요성은 황해의 한국측 갯벌에 약 1,600 종의 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에서도 알수 있다. 여기에는 70종의 식물성 플랑크톤, 300종의 저서 규조류, 50종의 염생식물, 300종의 해조류, 500종의 해양 무척추 동물, 150종의 어류, 230종의 물새 10종의 해양포유류 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그들의 생활사중 적어도 일정기간을 갯벌에 의존한다

해안 지역 급격한 산업화는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수교환기간이 7년이나 되는 사실과 더불어 황해지역의 오염 증가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 어획기술의 발달은 황해지역 주요상업어종 어획량이 1986년 40만톤에서 2004년 230만톤으로 급격하게 증가된 이유가 되었으며 이러한 어획량은 지속가능하지 못한 수준이다

몇몇 대규모 간척사업 들은 그 갯벌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고 미칠 것이다.

지난 바르셀로나 제4차 IUCN WCC(2008)에서 채택되었던 권고문 4.129, 즉 연안지역의 취약성과 거주민의 필요를 감안한 연안지역 통합관리의 원칙 강화에 대한 내용을 상기한다.

또한 지난 더반의 제5차 IUCN 세계공원회의(2003)에서 채택되었던 권고문 V.22 ‘해양 및 연안 보호구역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구축’ 과 CBD Aichi Target들(2010)의 Target 11 모두 해양 및 연안 보호구역 의 효과적이고도 공정한 관리 체계 설립요청을 상기한다.

한국이 아직 Ramsar 사이트로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들의 현명한 이용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람사협약을 준수하고 있으며 현재 대규모의 간척사업에 대한 승인이 없는 점을 우리는 환영한다

UNDP/GEF YSLME 프로젝트와 같은 프로젝트들을 통한 국제적 노력과 UNEP 지역해 프로그램과 같이 지역협력, 거버넌스 그리고 보전활동에 초점을 맞춘 그러나 더 많은 협력이 필요한 활동들을 환영한다.

그러나 우리는 황해 연안을 따라 개발되고 있는 도시들로 부터의 개발 압력과 남획, 그리고 황해가 가진 생태물리적 특성들 때문에 황해의 지속가능성과 생태적 환경들이 급속히 퇴화 하고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제5회 IUCN 세계 자연 보전 총회 한국 제주 (2012년 9월 6~15일)에서는

1. 황해 접경 국가들에게 과도한 개발과 자원의 남획으로부터 황해 생태계가 받고 있는 현재의 부정적인 영향을 개선하고, 간척 등 연안 개발로 인한 부정적 영향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협력할 것을 요청한다.

2. 황해 접경 국가들은 현재의 UNDP/GEF YSLME 프로젝트에서 수립한 전략행동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기관수준의 워킹그룹을 설립하기를 권장한다.

3. 람사협약 또는 EAAFP(East Asian-Australian Flyway Partnership) 과 같은 국제기구 및 지역 기구들에게는 동아시아의 국제적으로 의미가 있는 조간대 갯벌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술적 지침, 능력 개발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바란다.

4. IUCN 회원들에게는
a)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확실히 하기 위한 동아시아의 독특한 조간대 갯벌 생태계를 포함한 황해 생태계의 보전 노력을 지원하고 증진해주기를 요청한다.

b) 국립공원들과 다른 해양 및 연안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황해 생태계의 보전을 지원하기를 요청한다.

c) 현존하는 UNDP/GEF YSLME 프로젝트의 전략행동 프로그램(SAP)를 검토하고 이의 조속한 실행을 지원해주기를 요청한다.

d) 황해를 포함한 지역해들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하여 관련 국제 및 지역 기관들 및 NGO들을 통하여 필요한 인식을 증진해 줄 것을 요청한다.

5. IUCN 사무총장에게는

a) IUCN 회원 기관들, IUCN 위원회들 그리고 다른 IUCN의 파트너들이 이들 갯벌 생태계들의 보전필요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증진하고 연안개발로 인한 생태계 훼손에 대한 보다 세심한 고려들을 증가 시키기 위하여 동아시아의 갯벌 생태계 보호를 강화해주기를 요청한다.

b) IUCN 회원 기관들과(또는) IUCN 보호지역위원회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가 황해 보전을 위하여 EAAFP(East Asian-Australian Flyway Partnership) 과 같은 기존의 활동들을 활용해주기를 요청한다.

c) 위의 노력들을 위하여 지역 조간대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키고 보전정보를 공유함으로서 기술적 프로그램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기를 요청한다.

󰊳 아시아-태평양지역 생물다양성 관측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
- Promotion of the Asia-Pacific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 생물다양성은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 자연의 구조와 기능의 저하는 궁극적으로 미래 세대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며;
● CBD/COP/X/7의 결정은 UN CBD의 생명다양성을 위한 전략적 계획 2011-2020의 목표와 연관된 현존 관측능력 평가를 위한 “CBD 2020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생물다양성 관측의 적절성” 보고서를 출간하기 위해, 지구관측그룹 생물다양성관측네트워크(GEO BON)를 초청하여 UNEP의 세계보전모니터링센터(WCMC), IUCN 등의 조직과 함께 작업하도록 하였음을 상기하고;
● 자연의 상태를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관측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각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지구적 차원의 산림, 초지, 습지, 농지, 인간 중심의 도시지역, 해안지역과 해양, 사막, 고산 툰드라 등에서의 자연보전과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한 성공적 개입의 가장 핵심적인 도구가 된다는 점을 인정하며;
●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생물다양성관측 활동을 통합하는 것은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확인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활동의 하나이고, 이는 2013-16 IUCN 지역 프로그램 체계의 두 가지 핵심 프로그램 지역 중 하나임을 또한 인정하고;
● 세계 생물다양성의 경향과 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 관리, 분석하기 위한 세계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의 개발과 자연자원의 향상된 관리와 보전의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아래 GEO BON이 설립되었다는 점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이와 유사한 권한을 가진 지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로서 AP-BON이 설립되었다는 점을 이해하고;
● 2009년 이후 AP-BON에 대한 일본 환경성의 큰 지원과 AP-BON운영을 위한 이 발의안의 제안에 대한 대한민국 환경부의 후원을 인정하며;
● 이 지역 생물 다양성 네트워크(BON)가 일본(J-BON), 대한민국(K-BON), 네팔(N-BON) 그리고 방글라데시(B-BON)와 같은 국가 수준의 BON 활동들로 통합되고 있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다른 국가들에서 유사한 BON활동의 구축이 독려되고 있음을 이해하고;
●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 활동들은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세계적 수준에서의 생물학적 다양성 보전에 있어 동반적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임을 강조하고;
● 더 나아가 IUCN의 체계와 IUCN 회원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들 사이에 일부 격차들이 남아있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2012년 9월 6-15일에 대한민국 제주에서 열린 제5회 IUCN 세계자연보전총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IUCN 정부 및 기관 회원들이 아래 활동을 하기를 촉구한다:
1) 현재 존재하는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 활동들이 그들의 정부에서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2) AP-BON을 통하여 그들의 활동들이 지역적, 국제적 네트워크의 활동들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적극 장려하며;
3)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국가에서는 그 설립을 장려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IUCN 비정부기구(NGO) 회원들의 아래 활동을 하기를 권고한다:
1) 그들의 각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기존의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2)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국가에 이를 설립할 수 있도록 다른 적절한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활동하며;
3) AP-BON을 통하여 그들의 활동과 지역적 그리고 국제적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 활동들이 결합되도록 노력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모든 국가의 정부들이 아래 활동을 통해, 그들 국가의 생물다양성 네트워크의 지원을 확대할 것을 권고한다:
1) 공공경영의 구조 구축;
2) 기존 관측네트워크 통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구조 구성;
3) 조사와 모니터링 활동의 지원;
4) 지역봉사, 교육 그리고 능력배양을 위한 활동의 운영.
IUCN 사무총장이 아래 활동을 하기를 요청한다:
1) IUCN 회원국들과 위원회가 지역뿐만 아니라 국제적 생물다양성 네트워크들의 설립과 기능을 증진하는데 있어 앞장서서 주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2) 네트워크가 생물종과 생태계의 상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안에서의 능력배양을 지원한다.
아울러 IUCN 사무총장이 절멸위기종 및 멸종위기종 목록 구축과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호지역 관련해서 AP-BON에 의하여 생성된 유관 정보들을 사용할 것을 정식으로 요청한다.

 

편집부  ggalba@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