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온실가스, 2050년까지 30% 감축한다
상태바
항공기 온실가스, 2050년까지 30% 감축한다
  • 편집부
  • 승인 2012.06.28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산림 1/4 신규조성 효과…항공기 연료효율 세계 최고로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2050년까지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할 계획이다.

산림 면적으로 환산할 경우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약 1/4인 150만 헥타르(ha)를 새로 조성하는 것과 같다. 이를 위해 매년 항공기 연료효율을 1.3%씩 개선하여 2020년에는 국적 항공기 연료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으로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항공 부문 온실가스 감축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비행단계별 10개 세부 감축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은 항공 산업계의 이해가 직결되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므로, 감축 계획 수립시 정부와 민간전문가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여 감축이행 방안 등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계획을 확정하였다.

금번 감축계획 수립은 우리나라 항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0년 기준으로 16백만톤이나, 항공운송산업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2020년 2,096만톤, 2050년에는 3,5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정부와 항공산업계의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활동이 없으면 향후 국적항공사와 항공을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정부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감축계획에 따라 2050년 예상배출량(BAU) 대비 30% 감축을 목표로 항공기 연료효율을 매년 1.3%씩 개선해 나갈 계획이며, 이를 통해 항공부문 온실가스 1,052만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산림으로 환산할 때 우리나라 산림면적(약 640만ha, 10년 기준)의 1/4(23.4%)에 해당하는 약 150만 헥타르(ha)의 산림을 새로이 조성하는 효과라고 밝혔다.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20년에 국적 항공기의 연료효율은 0.28리터/RTK가 될 것이며, 국제민간항공기의 세계적 감축목표에 따른 연료효율 수준이 0.30리터/RTK 되는 것과 비교하여, 국적 항공기의 연료효율은 앞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가 금번에 마련한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계획은 비행단계별 10개 세부 감축 추진전략을 담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친환경 항공기로의 교체 ② 항공기 직선비행을 위한 단축항로 확대, ③ 성능기반항행(PBN) 기법 도입 ④ 항공기 보조동력장치(APU) 사용 대신 지상에 설치된 지상전원장치 사용 확대, ⑤ 주기적으로 항공기 운항 동안 시간비용과 연료비용을 검토하는 항공사 비용지수(Cost Index)의 최적화 ⑥ 항공기에 탑재하는 보정연료의 법정 탑재율을 안정성 범위 내에서 조정, ⑦ 단일 엔진 지상 활주, ⑧ 항공기 착륙시 공회전 역추진 사용, ⑨ 항공기 엔진의 주기적 세척, ⑩ 화물적재시 경량형 단위적재용기(ULD) 사용

국토해양부는 감축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정부, 항공사, 공항 모두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향후 감축 계획에 대한 이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감축 수단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새로운 감축기술 개발과 전 세계적 감축방안 마련 속도 등을 감안해 3년에 한 번씩은 수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편집부  ggalba@paran.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